[뉴스특보] 북한, 올해 7번째 ICBM 발사…다음은 핵실험?

  • 2년 전
[뉴스특보] 북한, 올해 7번째 ICBM 발사…다음은 핵실험?


[앵커]

북한이 오늘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을 발사했습니다.

지난 5월 말 '화성-17형' 추정 미사일을 발사한 지 4개월여만으로, 올해 들어서만 7번째 ICBM 발사입니다.

그동안 중·단거리 미사일만 무더기로 쏘던 북한이 ICBM을 발사하면서 도발 수위를 부쩍 높인 만큼 다음 수순은 핵실험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데, 외교안보 부처 출입하는 지성림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우선 북한이 오늘 발사한 ICBM부터 살펴보죠.

어디서 발사했고, 제원은 나왔나요? 오늘 쏜 ICBM은 발사에 실패했다고 하던데요.

[기자]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 탄도미사일(ICBM) 1발과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ICBM은 오전 7시 40분쯤 평양 순안 일대에서 발사됐습니다.

군 당국은 탐지 초기 이 미사일의 단 분리가 이뤄진 점 등을 바탕으로 ICBM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습니다.

이후 추가 분석을 통해 신형 ICBM '화성-17형'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는데요.

추진체 단 분리는 2단까지는 됐지만, 정상적인 비행은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늘 쏜 ICBM 비행거리는 약 760km, 고도는 1,920km, 속도는 약 마하 15로 탐지됐습니다.

이 미사일은 상공에서 소실된 것으로 전해졌는데, 성공하지 못하고 동해상에 추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통 ICBM은 최대 성능으로 발사하면 비행 속도가 마하 20을 넘어갑니다.

오늘은 속도가 마하 15 정도인 것으로 봤을 때 북한은 화성-17형을 최대 성능으로 발사하지 않고 액체연료의 양을 줄이는 방식으로 비행거리와 고도를 줄였을 수도 있고, 실패로 인해 속도가 줄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는 아직 화성-17형 개발이 완전히 끝나지 않아, 엔진이나 단 분리, 재진입 기술 등 추가적인 성능 시험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보이는데요.

오늘 발사에 실패했다면 추가적인 ICBM 발사에 나설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앵커]

사실 올해 들어 ICBM 발사가 처음은 아니잖아요.

이번이 7번째 ICBM 발사라고 하는데, 과거의 ICBM 발사 사례도 정리해 주시죠.

[기자]

북한은 올해 2월 27일과 3월 5일에도 '화성-17형'을 1발씩 발사했습니다.

당시도 최대 성능 시험발사는 아니었고, 엔진과 단 분리 등의 성능을 시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이 2차례의 ICBM 발사에 대해 제원을 공개하지 않은 채 "정찰위성 개발 계획에 따른 시험"이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3월 16일 다시 화성-17형 시험 발사를 했지만, 당시 ICBM은 고도 20㎞에도 채 이르지 못한 초기 단계에서 폭발했습니다.

북한은 3월 24일 또 ICBM을 쐈는데, 이때는 다음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화성-17형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보도하고 뮤직비디오 형식의 영상도 공개하며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습니다.

당시 ICBM은 비행거리 1천80㎞, 최고 고도 6천200㎞ 이상의 궤적을 그렸습니다.

하지만 국방부는 미사일 비행 특성 등을 분석해 북한이 직전의 화성-17형 발사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안정성이 비교적 검증된 화성-15형을 쏘고는 화성-17형 성공으로 주장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북한은 5월 4일에도 ICBM을 발사했는데, 우리 군 당국은 화성-15형으로 판단했지만, 화성-17형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당시 ICBM은 1단 엔진 연소 이후 폭파됐는데, 폭파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6번째 ICBM은 5월 25일에 발사됐는데, 군 당국은 화성-17형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오늘 쏜 것까지 포함해 올해 7차례의 ICBM 발사는 모두 평양 순안 일대에서 이뤄졌습니다.

[앵커]

오늘까지 7차례의 ICBM 발사 중 최소 5차례는 화성-17형 시험발사였는데, 계속 실패하고 있습니다.

조금 전에 화성-17형이 아직 완벽하지 않아서 안전성이 검증된 화성-15형을 쐈다고 얘기하셨고, 오늘 쏜 것도 화성-17형으로 추정되는데, 화성-17형은 어떤 미사일입니까?

[기자]

화성-17형은 2020년 10월 북한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모습이 공개됐는데요.

기존 ICBM보다 더 굵어지고 길이도 더 길어진 모습에 당시 '괴물 ICBM'으로 불렸습니다.

화성-15형의 이동식 발사차량은 바퀴가 9축이지만, 화성-17형의 이동식 발사차량은 11축 22륜입니다.

화성-17형의 길이는 22∼24m가량으로 추정되는데, ICBM 길이로는 세계에서 가장 깁니다.

탄두부도 엄청나게 커졌는데, 핵탄두 2∼3개가 들어가는 '다탄두 탑재형' 형태로 진화한 겁니다.

하지만 다탄두 기술이 성공했는지는 확인이 안 됩니다.

화성-17형은 3단 추진체 미사일로, 1단 추진체에는 액체연료를 쓰는 백두산 트윈 엔진 2세트, 즉 엔진 4기를 결합해 설치했는데, 추력은 160~170tf로 알려졌습니다.

2단에는 추력이 80tf 정도인 신형 트윈 엔진 1세트, 그리고 3단에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을 장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ICBM에서 중요한 것은 얼마만큼 날아가느냐, 즉 최대 사거리와 함께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 탄두부가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때 탄두를 얼마만큼 보호할 수 있느냐, 즉 재진입 기술입니다.

화성-17형 최대 사거리는 1만5,000㎞ 이상일 것으로 알려졌지만, 탄두부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했는지는 미지수입니다.

[앵커]

북한은 ICBM도 여러 종류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단거리부터 장거리까지,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까지 각종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죠.

북한의 미사일 개발 역사를 간략하게 소개해주시죠.

[기자]

북한은 1960년대 중반부터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에 인력과 자원을 투입했습니다.

1976년 이집트로부터 스커드-B를 도입한 후 역설계를 통해 스커드 미사일의 자체 생산에 성공했고, 이를 개량해 1988년에 작전 배치를 완료했습니다.

1990년대에는 사거리 1,300km인 '노동' 미사일을 개발해 작전배치 했고, 이를 기반으로 1998년...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