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선영 앵커, 정지웅 앵커
■ 출연 :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트럼프발 관세폭탄 파장이 커지고 있는데요. 전문가와 짚어보겠습니다.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와 나와 계십니다. 어서 오세요. 중국과는 거의 전쟁으로 가는 것 같은데 50% 관세 추가로 부과하겠다면 이게 몇 퍼센트까지 올라가게 되는 건가요?
[민정훈]
거의 100%까지 올라가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말씀해 주신 것처럼 1기 때도 그랬던 것처럼 2기 들어서 대중국 견제가 가장 트럼프 행정부의 전략적 목표 같고요. 통상 부분에서 중국이 미국이 갖고 있는 무역수지 흑자가 워낙 크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큰 변화를 주고 싶은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중국에 대해 추가 20%의 관세가 부과된 상황이잖아요. 거기에 상호관세가 9일날 34%가 중국에 부과가 되면 54%인데 수치만 가지고도 거기다가 50% 추가로 부과하게 104%가 되니까 작년 트럼프 후보가 선거 기간 동안에 중국에 대해서 100%를 부과하겠다, 이런 얘기를 했거든요. 그러니까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아닌가.
그게 엄포인 줄 알았는데 진짜로 할 수 있는 거군요.
[민정훈]
가능성은 그런데요. 50%를 추가로 부과할지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미국의 입장에서 사실 이렇게 물러서지 않고 강력하게 중국과 부딪히는 이유가 있을까요?
[민정훈]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 동맹이든 비동맹이든 상관없이 무역수지 적자가 큰 국가를 대상으로 주요 대상국으로 해서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잖아요. 그래서 중국이라든지 캐나다라든지 멕시코, 그다음에 EU, 일본, 한국 순으로 해서 타격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데요. 그만큼 중국은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려는 미국 행정부의 노력에 있어서 정점에 있는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쨌든 전략적 이해관계가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고 그래서 무역수지 적자를 중국과의 관계에서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치적목적이고 홍보에 있어서도 가장 좋을 거 아니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중국을 콕 집어서 트럼프 행정부가 공격하는 것이고 공격을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08125757831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 출연 :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트럼프발 관세폭탄 파장이 커지고 있는데요. 전문가와 짚어보겠습니다.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와 나와 계십니다. 어서 오세요. 중국과는 거의 전쟁으로 가는 것 같은데 50% 관세 추가로 부과하겠다면 이게 몇 퍼센트까지 올라가게 되는 건가요?
[민정훈]
거의 100%까지 올라가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말씀해 주신 것처럼 1기 때도 그랬던 것처럼 2기 들어서 대중국 견제가 가장 트럼프 행정부의 전략적 목표 같고요. 통상 부분에서 중국이 미국이 갖고 있는 무역수지 흑자가 워낙 크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큰 변화를 주고 싶은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중국에 대해 추가 20%의 관세가 부과된 상황이잖아요. 거기에 상호관세가 9일날 34%가 중국에 부과가 되면 54%인데 수치만 가지고도 거기다가 50% 추가로 부과하게 104%가 되니까 작년 트럼프 후보가 선거 기간 동안에 중국에 대해서 100%를 부과하겠다, 이런 얘기를 했거든요. 그러니까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아닌가.
그게 엄포인 줄 알았는데 진짜로 할 수 있는 거군요.
[민정훈]
가능성은 그런데요. 50%를 추가로 부과할지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미국의 입장에서 사실 이렇게 물러서지 않고 강력하게 중국과 부딪히는 이유가 있을까요?
[민정훈]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 동맹이든 비동맹이든 상관없이 무역수지 적자가 큰 국가를 대상으로 주요 대상국으로 해서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잖아요. 그래서 중국이라든지 캐나다라든지 멕시코, 그다음에 EU, 일본, 한국 순으로 해서 타격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데요. 그만큼 중국은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려는 미국 행정부의 노력에 있어서 정점에 있는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쨌든 전략적 이해관계가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고 그래서 무역수지 적자를 중국과의 관계에서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치적목적이고 홍보에 있어서도 가장 좋을 거 아니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중국을 콕 집어서 트럼프 행정부가 공격하는 것이고 공격을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08125757831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