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주말부터 전국에 강한 돌풍을 동반한 비와 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울에는 118년 만에 가장 늦은 눈이 내리는 등 계절이 마치 다시 겨울로 돌아간 듯한 풍경이 펼쳐졌는데요.

요란스러운 봄 날씨의 원인과 전망을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민경 YTN 기상·재난 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벚꽃이 절정이던 지난주와 달리 주말부터는 날씨가 급변했습니다.

가장 이례적이었던 '눈'부터 짚어볼까요?

[기자]
네, 토요일 밤부터 중부 곳곳에 눈이 날리기 시작하더니, 일요일에는 일부 지역에 제법 쌓였습니다.

서울에도 0.6cm의 눈이 쌓였는데요, 4월에 내린 눈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기록입니다.

특히 서울의 이번 눈은 1907년에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118년 만에 가장 늦게 내린 눈인데요.

지난 2020년 4월 22일에 서울에 눈발이 날린 적은 있었지만, 쌓이지 않아서 공식적으로는 이번이 가장 늦은 봄눈으로 기록됐습니다.

서울뿐만 아니라 강원 산간에는 10cm가 넘는 눈이 왔고요.

경기와 충청 일부 지역에서도 1cm 안팎의 눈이 내려 쌓였습니다.


4월 중순에 눈이라니, 계절을 거스른 눈, 원인이 뭔가요?

[기자]
대기 상층에서 영하 20도 이하의 찬 공기를 동반한 저기압이 한반도로 내려왔기 때문입니다.

공기의 흐름은 상층과 지상 모두 고기압과 저기압이 고-저-고-저 형태로 번갈아 나타나면서 기차 칸처럼 흘러가는데요.

상층의 대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양쪽에서 고기압이 벽처럼 막고 있다 보니 저기압이 이동하지 못하고 수제비 반죽 늘어지듯이 한반도 부근으로 내려온 건데요.

일기도 화면 보실까요?

대기 상층 5km 부근입니다.

한눈에 보이는 이 빨간색 공기덩어리가 저기압 소용돌이인데요.

12일 오후부터 우리나라에 다가와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눈뿐만 아니라 비도 요란했습니다.

강풍에 천둥, 번개, 우박까지 쏟아지던데 따뜻했던 날씨 때문이라는 말이 있더라고요?

[기자]
맞습니다.

이상 고온이 이런 요란한 날씨를 불렀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난주 금요일 날씨 기억하시나요?

저도 금요일에 날씨가 좋아서 절정에 달한 벚꽃 취재를 다녀왔는데요.

그날 전국적으로 기온이 크게 오르면서 5월 중하순을 방불케 하는 25도 안팎까지 올랐고요,

심지어 서... (중략)

YTN 김민경 (kimmink@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50414150959720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주말부터 전국에 강한 돌풍을 동반한 비와 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00:04서울에는 118년 만에 가장 늦은 눈이 내리는 등 계절이 마치 다시 겨울로 돌아간 듯한 풍경이 펼쳐졌는데요.
00:12요란스러운 봄 날씨의 원인과 전망,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00:16김민경 YTN 기상재난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00:20어서 오십시오.
00:21안녕하세요.
00:21날씨가 정말 왜 이러나 싶을 정도로 오락가락인데,
00:25벚꽃이 절정이던 지난주와 달리 주말부터 날씨가 급변했어요.
00:28먼저 눈 상황부터, 눈 소식부터 전해주시죠.
00:31토요일 밤부터 중부 곳곳에 눈이 날리기 시작하더니 일요일에는 일부 지역에 제법 쌓였습니다.
00:38서울에도 0.6cm의 눈이 쌓였는데요.
00:414월에 내린 눈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기록입니다.
00:45특히 서울의 이번 눈은 1907년에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후 118년 만에 가장 늦게 내린 눈인데요.
00:52지난 2020년 4월 22일에 서울에 눈발이 날린 적은 있었지만,
00:58쌓이지는 않아서 공식적으로는 이번이 가장 늦은 봄눈으로 기록됐습니다.
01:03서울뿐만 아니라 강원 산간에는 10cm가 넘는 눈이 왔고요.
01:07경기와 충청 일부 지역에서도 1cm 안팎의 눈이 내려 쌓였습니다.
01:12네, 4월과 눈은 참 어울리지 않는 것 같은데, 이렇게 계절을 거수는 눈의 원인이 좀 어디에 있습니까?
01:18네, 우선 대기 상층에서 영하 20도 이하의 찬 공기를 동반한 저기압이 한반도로 내려왔기 때문입니다.
01:26공기의 흐름은 상층과 지상 모두 고기압과 저기압이 고저고저 형태로 번갈아가면서 기차 칸처럼 흘러가게 되는데요.
01:35상층의 대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양쪽에서 고기압이 벽처럼 막고 있다 보니
01:41저기압이 이동하지 못하고 수제비 반죽 늘어지듯이 한반도 부근으로 내려온 건데요.
01:47일기도 화면 보실까요?
01:49대기 상층 5km 부근입니다.
01:53한눈에 보이는 빨간색 덩어리가 저기압 소형돌인데요.
01:5812일부터 오늘까지 이렇게 우리나라를 지나면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02:03네, 눈뿐만 아니라 비도 정말 요란했습니다.
02:06강풍에 천둥, 번개, 우박까지 내렸는데 그게 따뜻했던 날씨 때문이다, 뭐 이런 얘기가 있더라고요.
02:13네, 맞습니다. 이상 고온이 이런 요란한 날씨를 불렀다고 보시면 됩니다.
02:18지난주 금요일 날씨 기억나시나요?
02:21저도 금요일에 날씨가 좋아서 절정에 달한 벚꽃 취재를 다녀왔었는데요.
02:25그날 전국적으로 기온이 크게 오르면서 5월 중하순을 방불케하는 25도 안팎까지 올랐고요.
02:32심지어 서울은 24.2도로 올봄 최고 기온을 경신할 정도였습니다.
02:38이미 따뜻한 공기로 채워진 상태에서 저기압이 다가오면 성질이 다른 공기가 충돌하면서 대기가 무척 불안정해지는데요.
02:47이 과정에서 강한 비구름들이 만들어진 겁니다.
02:50그리고 조금 전에 기압과 관련한 설명을 해주시기도 했는데, 이번에는 저기압이 하나가 아니라 두 개가 있었다고요?
02:58네, 맞습니다. 다시 한번 일기도 보실까요?
03:00네, 이번에는 지상 부근 일기도입니다.
03:04위쪽 저기압은 앞서 보셨던 상층 일기도에서 보신 것처럼 상층 저기압이 미끄럼틀 타듯이 내려와서 만들어진 지상 부근 저기압이고요.
03:14반대로 남쪽에서 올라온 저기압은 수증기를 굉장히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03:20이 때문에 남쪽 저기압의 영향을 크게 받은 제주도는 호우특보가 내려지면서 산간에 150mm가 육박하는 많은 비가 내렸던 거고요.
03:30화면을 좀 돌려보게 되면 위쪽 저기압과 아래쪽 저기압이 합쳐지면서 이렇게 우리나라를 통과하게 됩니다.
03:39내륙의 비는 20에서 50mm가량으로 많지는 않았지만, 대기 불안정이 심해지면서 천둥과 번개는 물론 우박과 강풍까지 함께 나타났습니다.
03:51바람이 정말 강하게 불었는데 프로야구 경기가 중단될 정도로 강풍이 불었다고요?
03:58네, 맞습니다.
03:58어제 서울 잠실에서 열린 두산과 LG의 경기는 강풍과 우박 탓에 4차례나 중단이 됐었고요.
04:05수원에서도 KT와 삼성의 경기가 잠시 중단됐습니다.
04:09특히 잠실에서는 강풍이 워낙 거세서 지금 나온 화면처럼 비를 막기 위해 덮어놓은 방수포가 들썩일 정도였습니다.
04:17잠실구장이 있는 송파구에서는 초속 15.6m의 강한 바람이 불었고요.
04:23어제 한때 여수에서는 초속 35m, 양양과 화성, 부산 울진 등 곳곳에서는 초속 30m가 넘는 강풍이 몰아쳤습니다.
04:33저희가 태풍급 돌풍이라고 표현을 했는데요.
04:36실제 2022년에 초강력 태풍 흰남로가 상륙했을 당시에 부산은 초속 37.7m, 여수는 36.3m였는데
04:45이번 강풍이 이에 견딜만큼 강력했던 겁니다.
04:49초속 30m면 시속 100km로 달리는 자동차 창문을 열었을 때와 비슷한데요.
04:55간판이나 가벼운 구조물들은 날아갈 수 있는 정도입니다.
04:59야구 중계를 보면서 방수포가 뒤집어지는 장면은 저도 처음 본 것 같은데
05:05바람도 바람이지만 주말 사이에 기온이 뚝 떨어졌더라고요.
05:09네, 맞습니다. 상층에서 찬 공기가 강하게 내려왔기 때문에 기온도 당연히 떨어졌는데요.
05:14찬 공기가 내려오기 직전인 토요일 낮에는 22.5도였는데 어제는 8.2도에 그쳤습니다.
05:22하루 만에 15도 정도나 차이가 난 건데요.
05:25특히 어제 아침에는 체감온도가 영하권까지도 내려가기도 했습니다.
05:28네, 그런데 이 와중에 황사까지 가세했었다고요?
05:32네, 그렇습니다. 어제 서울과 청주, 대전, 홍성에서 황사가 관측됐는데요.
05:37특히 서울 강동구의 미세먼지 농도는 일시적으로 3제곱미터당 198마이크로그램까지 치솟았고요.
05:44부산 태종대는 200마이크로그램을 넘었습니다.
05:47다행히 황사는 주로 대기 상층을 지나서 일시적으로 영향을 준 정도에 그쳤는데요.
05:53하지만 상공에 남아있는 황사의 영향으로 오늘은 전반적으로는 괜찮더라도
05:58일부 지역에서는 어제처럼 미세먼지 농도가 일시적으로 나쁨 수준으로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06:03오늘 날씨는 어떻습니까? 비나 눈, 강풍 상황은 어떤가요?
06:07네, 레이더 화면 보실까요?
06:09현재 대부분 지역에서 이렇게 비나 눈이 내리고 있는데요.
06:13초단기 예보를 이렇게 보시게 되면 비구름이 점차 약해지고 이렇게 흩어지게 되면서
06:19약 2, 3시간 정도 뒤에는 이렇게 곳곳에서 소강상태를 보일 걸로 보입니다.
06:25다만 여전히 대설주의보가 내려져 있는 강원 산가는 내일 새벽까지도 눈이 산발적으로 이어지겠고요.
06:32강풍특보가 내려진 서해안과 제주도 그리고 풍랑특보가 발효 중인 서해안과 남해상에서는 오늘 밤까지도 강한 바람이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06:44이렇게 요란한 날씨가 봄철에 흔하게 나타나는 건지 그리고 앞으로 또 이런 악기상이 겹쳐서 나타날 수 있는 건지 궁금하네요.
06:51네, 우선 4월 중순에 서울의 눈은 굉장히 이례적이었지만 강원도는 산간에 5월 15일에도 대설특보가 내려질 정도로 5월까지도 눈이 자주 내립니다.
07:00이번처럼 서울 등 수도권에 다시 눈이 올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07:06하지만 이제 여름을 향해 가는 시기라서 5월부터는 최저기온도 영하권으로 떨어지진 않기 때문에 상층에 찬 공기가 아무리 강하게 내려오더라도 눈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7:21다만 강풍을 동반한 봄, 호우는 종종 있겠는데요.
07:24지난해와 지지난해, 어린이나 연휴에는 봄, 호우가 쏟아져서 야외 활동을 기대했던 어린이들을 울리기도 했었고요.
07:32또 한 번씩 지나가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호우 수준의 비는 올해도 몇 차례 더 있을 걸로 예상됩니다.
07:38어제 저녁에 외출을 해보니까 벚꽃이 벌써 많이 떨어졌더라고요.
07:42언제 다시 이맘때 봄 날씨로 돌아오는 겁니까?
07:45네, 내일까지는 평년보다 낮은 기온 속에 곳곳에서도 바람이 계속 강하게 불 것 같습니다.
07:51수요일인 모레부터는 다시 따뜻한 남서풍이 불면서 점차 기온이 올라 다시 완연한 봄 기운을 되찾을 걸로 보입니다.
07:59비바람에 벚꽃들이 많이 떨어지긴 했지만요, 완전히 지지는 않아서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는 불 수 있는데요.
08:06주 중반에는 하늘도 맑을 걸로 보이니까요, 짧아서 아쉬웠던 봄꽃을 즐기기에는 좋은 날이 될 것 같습니다.
08:12모레부터는 다시 또 완연한 봄날이 찾아온다고 하니까 기다려봐야겠네요.
08:16지금까지 김민경 YTN 기상재난전문기자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