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6일 전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하면서 또 다른 관심사로 떠오른 이슈, 바로 대통령실이죠.

지금의 용산 대통령실을 그대로 쓸지 아니면 다시 청와대로 들어갈지, 그도 아니면 제3의 지역으로 이동할 것인지 의견이 분분한데, 대선 후보들의 생각을 짚어보겠습니다.

지금의 용산 대통령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이전한 곳이죠.

국민과 소통하겠다는 의미로 최초의 출퇴근 대통령이 된 이후 약 6개월 동안 약식 회견을 진행한 곳이기도 합니다.

대신 청와대는 국민 품으로 돌아갔죠.

취임 당일 곧바로 일반인에 시설이 개방돼 지난달 2년 10개월 만에 누적 관람객 700만 명을 돌파하는 문화예술공간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청와대는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무려 74년 동안 대통령실로 사용된 곳이죠.

대통령 집무실을 비롯해 관저와 여민관, 경호처, 헬기장 등 제반 시설이 마련돼 있습니다.

이 때문에 청와대로 다시 들어가야 한다는 후보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미국의 백악관처럼 청와대는 국격의 상징이기 때문에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되찾아야 한다는 겁니다.

[홍준표 /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 (지난 15일) : 청와대는 국격의 상징이고 나라의 상징입니다. 저는 윤 대통령께서 청와대를 나와서 용산에 갈 때 참 저것은 잘못 하는 일이다. 국격 상징인 청와대는 다시 정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철수 /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지난 8일) : 청와대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청와대의 규모를 좀 줄여서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경호를 잘 하게 만들고, 나머지는 국민들께 일부를 개방해서 (중략) 마치 미국의 백악관, 거기에 관광객들 들어가고 있거든요. 그래도 경호상 문제 없게 잘 배치했습니다. 그런 모델을 차용하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대안으로는 세종시가 거론됩니다.

청와대가 민간에 개방되면서 이미 보안에 취약해진 점 등도 고려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지방분권 시대라는 오래된 과업을 이제는 이뤄야 한다는 주장인데요, 이런 목소리를 낸 후보들의 말도 들어보시죠.

[김경수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어제) : 이런 곳에 다음 대통령이 단 하루라도 근무하게 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생각합니다. 세종집무실은 반드시 동시에 열어야 합니다. 대통령이 서울에 있고 행정 각부 장관이 세종에 있으면서 장관들이 왔다갔다 하는... (중략)

YTN 김혜은 (henism@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50417105545452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대선 레이스가 본격화하면서 또 다른 관심사로 떠오른 이슈, 바로 대통령실이죠.
00:06지금의 용산 대통령실을 그대로 쓸지, 아니면 청와대로 들어갈지,
00:11그도 아니면 아예 제3의 지역으로 이동할 것인지 의견이 분분한데요.
00:16대선 후보들의 생각을 짚어보겠습니다.
00:20지금의 용산 대통령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이전한 곳이죠.
00:24국민과 소통하겠다는 의미로 최초의 출퇴근 대통령이 된 이후 약 6개월 동안 약식 퇴견을 진행한 곳이기도 합니다.
00:33대신 청와대는 국민품으로 돌아갔죠.
00:35취임 당일 곧바로 일반인의 시설이 개방돼 지난달 2년 10개월 만에 누적 관람객 7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문화예술공단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00:46청와대는 1948년 정보 수립 이후 무려 74년 동안 대통령실로 사용된 곳이죠.
00:52대통령 집무실을 비롯해 관저와 여민관, 경호척, 헬기장 등 재반시설이 마련돼 있습니다.
01:01이 때문에 청와대로 다리시 들어가야 한다는 후보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01:05미국의 백악관처럼 청와대는 국격의 상징이기 때문에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되찾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겁니다.
01:14관련 이야기 들어보시죠.
01:15청와대는 국격의 상징이고 나라의 상징입니다.
01:25저는 윤 대통령께서 청와대를 나와서 용산에 갈 때 참 저것은 잘못하는 일이다.
01:34국격의 상징인 청와대는 다시 정비를 해야 될 것으로 봅니다.
01:42청와대로 다시 돌아와야 된다고 그렇게 생각합니다.
01:45지금 청와대의 규모를 좀 줄여가지고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경호를 잘하게 만들고
01:54나머지는 또 국민들께 일부는 또 개방을 해서 마치 미국의 화이트하우스 지금 거기에 관광객들 들어가고 있거든요.
02:05그래도 경우상에 문제가 없게 잘 배치를 했습니다.
02:08그런 모델을 차용하면 저는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02:13다른 대안으로는 세종시가 거론됩니다.
02:16청와대가 민간에 개방되면서 이미 보완에 취약해진 점 등도 고려해야 하지만
02:21무엇보다 지방분권 시대라는 오래된 과압을 이제는 이뤄야 한다는 주장인데요.
02:26이런 목소리를 낸 후보들의 말도 들어보시죠.
02:31이런 곳에 다음 대통령이 단 하루라도 근무하게 하는 것은 저는 불가하다고 생각합니다.
02:40세종진무실은 반드시 동시에 열어야 됩니다.
02:44대통령이 서울에 있고 행정각부장관은 세종에 있으면서 장관들이 왔다 갔다 하는
02:51이런 식의 국정운영으로는 대통령실의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가 없습니다.
02:57대통령실은 외교완법 빼고 지금 한 5분 정도의 규모를 한 5분의 정도 줄일 수 있다.
03:06그리고 훨씬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자신이 있다.
03:09그렇기 때문에 취임 다음 날은 바로 직무를 세종시에서 할 수 있다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03:19일부 국민의힘 후보들은 일단 지금의 용산 대통령실을 쓰겠다는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03:25촉박하게 이루어지는 선거인 만큼 업무의 연속성을 고려하자는 건데요.
03:30용산 대통령실에서 업무를 진행하면서 이후에 청와대나 세종시 혹은 여론의 향방을 보면서 결정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03:38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임기안에 세종시로 옮기겠다며 그 이전에 사용할 대통령실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안을 밝히지 않았고요.
04:06김문수 후보는 여러 가지 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04:11차기 정부의 핵심 시설인 대통령실 인수위원회도 없이 바로 취임하기 때문에 빠른 결정이 필요한데요.
04:18하지만 졸속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국가 안보와 예산 등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04:26감사합니다.
04:27асти시로 옮기기
04:28ział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