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5일 전
■ 진행 : 박석원 앵커, 엄지민 앵커
■ 출연 : 김희준 YTN 해설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 10A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미국이 일본과 가장 먼저 관세 협상을 진행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개입하고 나섰습니다.


미국 측은 일본에 방위비 증액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다음 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협상에서 참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관련해서 김희준 해설위원과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미국과 일본이 관세 협상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끼어들었다는 말이 나왔거든요. 왜 이런 말이 나온 겁니까?

[기자]
미국과 일본의 관세협상에 이례적으로 미국 대통령이 난입했다는 표현을 썼는데 이건 일본 언론의 표현입니다. 미국과 일본의 관세와 경제 담당 수장들이 워싱턴에서 마주 앉았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이 협상에 직접 참석하겠다고 밝힌 겁니다. 그것도 일본 대표단이 워싱턴으로 오는 비행기에 있었던 시각이라고 매우 당황했다는 후문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본협상에 직접 참석은 안 했고요. 회담에서 앞서 일본측 대표 이카자와 경제재생상을 50분에 걸쳐서 만났습니다. 미국과 일본의 본 협상이 75분 동안 진행됐으니 매우 긴 시간을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 협상한 셈입니다. 그런 뒤 본협상이 열리기 전에 SNS에 일본과 만나 큰 진전을 이뤘다는 표현까지 올렸는데요. 미국으로선 무역적자폭이 큰 핵심 동맹국인 일본을 대상으로, 또 일본은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나라입니다, 미국의 국채를. 이런 일본을 대상으로 협상해서 큰 진전을 미리 거두겠다는 포석으로 읽혀집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말 예측하기가 어려운데 일단 미국과 일본의 협상에서 눈에 띄는 성과는 없었던 것 같고요.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랑 방위비를 연계하겠다, 이런 뜻을 나타내면서 일본 입장도 난감해진 것 같아요.

[기자]
정확하게 표현하셨습니다. 이번 1차 협상은 양측이 서로의 요구를 탐색해 보는 탐색전 성격이었다고 얘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일본 측은 철강과 자동차에 대한 관세와 고율 상호 관세에 유감을 나타냈고, 미국은 자국산 자동차의 판매 확대, 무역 적자 해소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미...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8105559448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미국이 일본과 가장 먼저 관세 협상을 진행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개입하고 나섰습니다.
00:07미국 측은 일본의 방위비 증액도 거론한 걸로 전해졌는데, 다음 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협상에서 참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00:15관련해서 김희준 해설위원과 짚어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00:20안녕하세요.
00:20미국과 일본이 관세 협상을 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끼어들었다는 말이 나왔거든요. 왜 이런 말이 나온 겁니까?
00:26미국과 일본의 관세 협상에 이례적으로 미국 대통령이 난입했다, 이런 표현을 썼는데, 이건 일본 언론의 표현입니다.
00:35미국과 일본의 관세와 경제 수장들이 워싱턴에서 한자리에 마주 앉았었는데요.
00:40트럼프 대통령이 이 협상에 직접 참석하겠다고 밝혔던 겁니다.
00:44그것도 일본 대표단이 워싱턴으로 오는 비행기에서 있었던 시각이라서 매우 당황했다는 그런 후문도 있습니다.
00:51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본 협상에 직접 참석하지는 않았고요.
00:55일본 측 대표인 경제재생상을 따로 만났는데, 50분간에 걸쳐서 만났습니다.
01:01미국과 일본의 본 협상이 한 75분에 걸쳐 진행됐으니, 매우 긴 시간을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 협상한 셈입니다.
01:09그런 뒤 본 협상이 열리기도 전에 SNS에 미국과 일본과의 협상에서 큰 진전을 이뤘다는 표현까지 올렸는데요.
01:17미국으로서는 무역 적자폭이 큰 핵심 동맹국인 일본을 대상으로,
01:23그리고 일본은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나라입니다.
01:26미국의 국채를.
01:27이런 일본을 대상으로 협상해서 큰 진전을 미리 거두겠다, 그런 포속으로 읽혀집니다.
01:33트럼프 대통령은 정말 예측하기가 어려운데,
01:35일단 미국과 일본의 협상에서 눈에 띄는 성과는 없었던 것 같고요.
01:39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랑 방위비를 연계하겠다, 이런 뜻을 나타나면서 일본 입장도 좀 난감해진 것 같아요.
01:46네, 정확하게 표현하셨습니다.
01:48이번 1차 협상은 양측이 서로의 요구를 좀 탐색해보는 그런 탐색전 성격이었다라고 얘기를 할 수가 있겠습니다.
01:55일본 측은 이번 협상에서 철광과 자동차에 대한 관세와 고율 상호 관세 유감을 나타냈고요.
02:02미국은 자국산 자동차의 판매 확대, 또 무역 적자 해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02:07미일 양국은 조속한 합의를 이루자는 원칙에 공감하고, 장관급과 실무급 논의를 일단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02:14먼저 일본 측 입장부터 들어보시겠습니다.
02:16트럼프 대통령은 군사 지원 비용을 더욱 높아졌습니다.
02:46이시바 총리는 이에 주요 강요들과 긴급회담을 여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부심을 하고 있습니다.
02:59현재 미국, 오키나와 등 일본에 주둔하고 있는 주일 미군이 한 5만 명 정도가 되고요.
03:04여기에 일본이 내는 방위비 분담금조가 2022년부터 해서 5년 동안, 그러니까 2026년까지 매년 2조 2천억 원 정도를 내야 하는 상황인데,
03:15시기적으로 보면 일본과의 방위비 협상도 새로 시작해야 되는 시점이 조금만간 다가오고 있어서,
03:21이번 관세 협상에서 큰 카드로 아마 거론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03:26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협상에 개입을 한다든가, 아니면 방위비랑 연계를 한다든가,
03:31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다음 주부터 시작되는 우리도 협상에 참고할 부분이 많을 것 같은데요.
03:36네, 그렇습니다.
03:36이번 관세 전쟁에서 트럼프 정부는 한국을 일본과 함께 핵심 동맹국, 우선 협상국으로 콕 집어서 얘기를 했거든요.
03:44다음 주에 최상목 경제부총리, 또 안덕근 산업부 장관 등이 미국을 방문해서 본격적인 관세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03:52앞서 트럼프 대통령, 원스톱 쇼핑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한국의 관세와 방위비를 패키지 딜로 다루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는데요.
04:01우리 정부는 물론 이 방위비와 관세를 좀 구분해서 협상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지만,
04:07사실 미국 측이 어떻게 나오냐에 따라서 우리도 좀 전략적으로 대응을 해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04:13네, 그리고 조금 더 말씀 붙이면 트럼프 대통령이 얘기했던 상호 관세를 유예하면서 90일간의 기간을 두지 않았습니까?
04:23그렇다 보면 7월 초까지는 약간 시간이 있는 셈입니다.
04:26그러니까 협상을 빨리 시작하는 것은 좋지만, 타결은 서두르기보다 일본이나 주변국의 협상 상황,
04:34그리고 전체적인 판을 보면서 조금 더 전략적으로 신중히 대응해야 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04:39일단 우리와 미국이 조선, LNG 쪽에서 협력 강화하기로 했는데, 이게 괜찮은 카드가 될까요?
04:46네, 조선업과 함께 LNG 개발 사업은 트럼프 대통령의 수건 사업이고요.
04:52또 한국과 일본을 우선 투자국으로서 콕 집어서 얘기를 한 바가 있습니다.
04:57우리 정부는 이번 관세 협상에 일단은 카드로 생각을 하고,
05:02가스공사도 알래스카 측과 일단 화상 협상을 한 상황인데요.
05:08이 동토인 알래스카 북부에서 남쪽 한국까지 약 1300km에 이르는 가스관을 연결하고,
05:15에콰플랜트 설비를 구축하는 사업인데,
05:17그런데 이 혹한의 날씨와 또 60조 원 내외로 추산되는 사업비가 큰 부담입니다.
05:24세계적인 에너지 기업인 BP나 엑셈모빌도 일치감치 채산성을 높다고 보지 않아서 손을 뗀 사업이기도 하거든요.
05:32가스 운송거리를 단축하고 에너지 수입선을 다 변화한다는 의미에서는 좀 의미가 있지만,
05:39경제성 면에서 선뜻 투자를 결정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05:43때문에 우리 정부는 일단 협상에서 우선 LNG 수입 확대 등을 내세우면서,
05:49알래스카 가스전 개발 사업은 좀 더 치밀하게 검토하고,
05:52끝까지 카드로 가져가야 될 것으로 봅니다.
05:55또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좀처럼 휴전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는데,
06:00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측과 조기 타결 가능성도 언급했죠?
06:03네, 그렇습니다.
06:04백악관이 얼마 전에 대중관세가 245%라고 얘기를 했고,
06:08중국은 여기서 콧방귀를 끼면서 양측의 신경점만 좀 가열되는 모습인데,
06:13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중국 측과 대화를 계속하고 있다.
06:18그리고 3, 4주 정도면 모든 것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얘기를 했습니다.
06:22그러나 트럼프답게 구체적인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거든요.
06:26최근 미국이 엔비디아 같은 저성능 칩에 대한 대중국 수출을 통제를 하면서,
06:33관세 전쟁이 반도체 전쟁으로 확전이 되고 있고,
06:36또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서 자국 항공사들의 보잉 항공기 신규 주문을 중단하고,
06:41또 제2위의 미국 채권 보유국인 만큼 마펀치를 강하게 날리고 있습니다.
06:47시진핑 주석의 발걸음도 빠릅니다.
06:49최근 관세 폭탄을 맞은 캄보디아 등 아시아 각국들을 순방하면서 우군을 확보하고 있고,
06:55또 EU와의 연대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06:58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맷집이 그 어느 때보다 커져서,
07:02관세 전쟁에 크게 유동하지 않는 중국을 대상으로 갈등을 조기 타결하면서,
07:07어떤 출구를 찾을 필요성이 좀 더 조급한 상황이다, 이렇게 볼 수가 있겠습니다.
07:11사실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미국 소비자들도 직격탄 맞고 있잖아요.
07:15여기에 제롬 파워 연준 의장이 반기 들면서,
07:19트럼프 대통령과 기싸움도 벌이고 있는 모습이에요.
07:21네, 그렇습니다.
07:22트럼프 관세 전쟁으로 가장 피해를 보는 것이 미국 소비자다, 이런 얘기 나오고 있습니다.
07:27최근 통계를 하나 보면,
07:29보편 관세 10%만 추가로 부담이 돼도,
07:32미국의 수입품 물가가 약 3% 가까이 늘어난다.
07:36그리고 한 가게가 부담해야 되는,
07:38연간 부담해야 할 돈이 한 700만 원 정도로 는다는 그런 통계가 나왔습니다.
07:42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이런 파급을 생각하듯이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
07:51또 인플레이션 가능성도 확대된다면서 연일 트럼프 대통령의 반기를 들은 발언을 내놓고 있거든요.
07:57그동안 파월 의장과 연일 날을 세운 트럼프 대통령도 다시금 파월 의장에 대한 조기 사퇴,
08:04또 사임을 종룡하는 그런 발언까지 내놓으면서 서로 막 신경전을 계속 벌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08:10그리고 기준금리 인하도 거듭 압박을 했고요.
08:13그런데 뭐 좀 다행이라고 할까요?
08:15뉴욕 증시는 이 같은 양측의 또 신경전에 크게 반응하지 않으면서
08:18일단 오늘은 혼조세로 마감을 했습니다.
08:21네, 트럼프 관세가 각국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은데,
08:24지금 우리 기업에 대한 타격도 구체적으로 좀 나타났죠?
08:27네, 무역협회 통계가 나왔습니다.
08:29지난달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약 16.6% 가까이 극감한 것으로 나타났고요.
08:35알루미늄 수출도 5%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8:40미국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것이 지난달 12일이거든요.
08:46그러니까 3주도 되지 않아서 이 관세 충격이 바로 나타난 셈입니다.
08:51또 한국은행, 앞서서 우리 1분기 우리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란 관측을 내놓았고,
08:57세계무역기구도 올해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0.2% 하향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09:04트럼프발 관세 충격이 커지는 가운데 다가오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09:08차분하고도 신중하게 대응해야 된다는 점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겠습니다.
09:13네, 트럼프 정부 관세 전쟁 파장과 대응과 관련해서 김희준 해설위원과 함께했습니다.
09:19고맙습니다.
09:19고맙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