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경남 산청 산불 여파로 파손된 시설을 철거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집을 잃은 이재민들이 지낼 새 주택은 오는 9월 말 준공될 전망입니다.

임형준 기자입니다.

[기자]
한 달 전 화마가 휩쓸고 지나간 경남 산청 중태마을에 굵은 빗줄기가 쏟아집니다.

산불로 폐허가 된 주택 잔해를 굴착기가 연신 걷어냅니다.

건물 파편이 여기저기 널브러진 데다 궂은 날씨마저 작업을 도와주지 않습니다.

[하주만 / 시설 철거 작업자 : 혼합 폐기물이랑 불탄 고철 분리 작업이 힘들었고, 쾌쾌한 냄새라든지 그런 게 힘들었어요.]

산불로 파손된 주택 등 시설에 대한 철거 작업과 함께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겁니다.

산불의 주불이 잡힌 지 20여 일 만입니다.

철거 작업은 이곳 중태마을의 주택뿐 아니라 산청군 일대의 피해 시설을 대상으로 이뤄집니다.

철거 예정인 시설은 주택과 창고를 포함해 89동, 잠정 집계된 84곳보다 늘었습니다.

산불 영향 구역도 1,858ha였는데, 산림청이 잠정 집계한 산불 피해 면적은 3,397ha입니다.

철거 작업이 마무리되면 이재민들이 살 새로운 집을 지을 예정입니다.

[박명균 / 경상남도 행정부지사 : 5월 중순까지 저희들이 일단 철거를 하고, 6월 말까지 건축 설계 인허가를 완료하도록 하겠습니다. 10월 초에, 추석 전에 (주민들이) 입주를 할 수 있도록…]

살던 집이 잿더미가 되어 임시 주거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산청의 이재민은 19가구 27명.

복구 작업이 빨리 끝나 일상을 회복하기만을 바라고 있습니다.

YTN 임형준입니다.


VJ : 문재현




YTN 임형준 (chopinlhj0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422191839557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경남산청 산불 여파로 파손된 시설을 철거하는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00:05집을 잃은 이재민들이 지낼 새로운 주택은 오는 9월 말에 준공될 전망입니다.
00:11임형준 기자입니다.
00:15한 달 전 화마가 휩쓸고 지나간 경남산청 중태마을에 붉은 빗줄기가 쏟아집니다.
00:21산불로 폐화가 된 주택 잔해를 불찾기가 연신 걷어냅니다.
00:30건물 파편이 여기저기 널벌어진 데다 굳은 날씨마저 작업을 도와주지 않습니다.
00:53산불로 파손된 주택 등 시설에 대한 철거 작업과 함께
00:58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겁니다.
01:02산불에 주불이 잡힌 지 20여일 만입니다.
01:05철거 작업은 이곳 중태마을의 주택뿐 아니라 산천군 일대의 피해 시설을 대상으로 이뤄집니다.
01:13철거 예정인 시설은 주택과 창고를 포함해 89동, 잠정 집계된 84곳보다 늘었습니다.
01:19산불 영양구역도 1858헥타르였는데
01:24산림청이 잠정 집계한 산불 피해 면적은 3397헥타르입니다.
01:31철거 작업이 마무리되면 이재민들이 살 새로운 집을 지을 예정입니다.
01:355월 중순까지 저희들이 일단 철거를 하고
01:396월 말까지 저희들이 건축 설계라는 인허가를 완료하도록 하겠습니다.
01:4710월 초에 추석 전에 저희들이 입주를 할 수 있도록
01:53살던 집이 잿더미가 돼 임시 주거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산청의 이재민은 19가구 27명.
02:02복구 작업이 빨리 끝나 일상을 회복하기만을 바라고 있습니다.
02:07YTN 이명준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