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의정갈등이 불거진 뒤 처음으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의대생들을 만났습니다.

학생들이 참여해 의견을 낼 수 있는 위원회를 만들어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는데,

내년도 정원 동결에도 꿈쩍 않고 있는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할지는 미지수입니다.

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교육 당국의 수장인 이주호 부총리와 의대생, 전공의 등 10여 명이 한자리에 마주 앉았습니다.

지난해 2월 의정갈등이 시작된 뒤 1년 2개월 만에 첫 공식 만남입니다.

이 부총리는 먼저 정부와 의료계 사이 소통이 부족했던 점을 인정하며, 의견 수렴을 위한 의학교육위원회 구성을 약속했습니다.

[이주호 /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이 위원회에 교수님을 비롯한 의학교육 전문가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참여하여 여러분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뒤늦었지만, 앞으로 정부와 의료계의 불신을 해소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건데, 의대생들은 이 자리에서 정원확대의 정당성 문제를 제기하며 교육의 질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이 부총리는 24, 25학번을 따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학교별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여러 모델을 만들었다며, 문제없이 교육이 이뤄질 것이라고 학생들을 설득했습니다.

[최안나 / 대한의료정책학교 교장 : 학생들도 이 사태의 빠른 해결, 정부가 특히 교육부가 이렇게 적극적인 소통에 나선 것을 시작으로 사태가 잘 해결되기를 바라는 그런 많은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정부와 의대생이 대화의 물꼬를 트긴 했지만, 이를 계기로 학생들이 돌아올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더욱이 이번 대화에 참여한 의대생들은 그동안 정부와 대립각을 세워 온 의대생 단체 소속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학생들은 여전히 필수의료패키지 철회 등 사실상 의료개혁 백지화를 요구하며 '수업 거부'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오는 30일까지 의대 본과 4학년 학생들의 유급시한이 줄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YTN 백종규입니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22224400636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의정 갈등이 불거진 뒤 처음으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의대생들을 만났습니다.
00:06학생들이 참여해 의견을 낼 수 있는 위원회를 만들어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는데요.
00:12내년도 정원 동결에도 꿈쩍하지 않고 있는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할지는 미지수입니다.
00:18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00:23교육당국의 수장인 이주호 부총리와 의대생, 전공의 등 10여 명이 한자리에 마주 앉았습니다.
00:28지난해 2월 의정 갈등이 시작된 뒤 1년 2개월 만에 첫 공식 만남입니다.
00:36이 부총리는 먼저 정부와 의료계 사이 소통이 부족했던 점을 인정하며 의견 수렴을 위한 의학교육위원회 구성을 약속했습니다.
00:44이 위원회에 교수님을 비롯해서 의학교육 전문가 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참여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00:55뒤늦었지만 앞으로 정부와 의료계의 불신을 해소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건데
01:01의재생들은 이 자리에서 정원 확대의 정당성 문제를 제기하며 교육의 질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01:09이 부총리는 2사 2호 학번을 따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학교별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여러 모델을 만들었다며
01:17문제없이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학생들을 설득했습니다.
01:21어쨌든 학생들도 이 사태의 빠른 해결, 그리고 정부가 특히 교육부가 이렇게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주신 것이
01:33이거를 시작으로 이 사태가 잘 해결되기를 바라는 그런 많은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01:39정부와 의대생이 대화에 물꼬를 트긴 했지만 이를 계기로 학생들이 돌아올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01:47더욱이 이번 대화에 참여한 의대생들은 그동안 정부와 대립각을 세워온 의대생 단체 소속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01:55학생들은 여전히 필수 의료 패키지 철회 등 사실상 의료개혁 백지화를 요구하며 수업 거부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02:04오는 30일까지 의대 본과 4학년 학생들의 유급 시한이 줄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02:11YTN 백종규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