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동안 인명 피해가 발생할수 있는
대형 싱크홀의 원인의 대부분은
지하 공사 부실이 원인
활기가 넘치는 '행복한 아침'이 시작됩니다!
'행복한 아침'
월~금 아침 7시 30분
카테고리
📺
TV트랜스크립트
00:00최근에 발생했던 사고를 좀 들여다보면 알 수가 있는데요 지난달 서울 강동구에서 대형 땅 꺼짐 사고가 발생했잖아요 당시에 폭이 25m 깊이가 15m에 달하는 굉장히 큰 구멍이 생겼는데요 지나가던 오토바이가 이 구멍으로 빠지는 바람에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지는 일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도 굉장히 많은 분들이 충격을 빠뜨리 충격에 빠뜨린 사고가 있었죠 지난 11일 경기도 광명시에서도 지하철 공사 중에 터널이 무너지면서 대형 땅 꺼짐 사고가 있었습니다
00:29작업자 1명이 매몰돼 숨졌습니다 또 주민들이 인근에 사는 주민들까지 대피를 하는 큰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는데요 지난 10년 동안 이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대형 싱콜 사고를 분석했더니 사고 원인의 대부분이 지하공사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0:48싱콜의 주요 원인이 노우상하수관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지하공사가 주요 원인이에요
00:55주요 원인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00:59지하하수관이 노우화되면서 계속 누수가 발생해서 싱콜이 발생하는 것 이런 일들은 계속 있고요
01:06전체 싱콜 사고를 작은 것까지 다 포함한다고 하면 지하 누수관도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치는 건 사실입니다
01:13하지만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큰 싱콜이 발생하는 것은 원인이 좀 다르다 이런 겁니다
01:19동아일부 취재팀이 2018년 1월부터 이달까지 신고된 싱콜 사고 1422건 가운데 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깊이 5m 이상 대형 싱콜 35건을 따로 분석을 했다고 하거든요
01:33그런데 지하공사 부실이 15건으로 42.9%로 가장 많았고요
01:38상하수도관 누수가 8건 22.9%로 그 절반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01:44어제 서울시가 노우화수관 보수 예산을 2배로 늘리는 대책을 내놓기는 했는데요
01:50물론 하수관 관리를 강화하는 것도 당연히 해야 하지만 대형 싱콜 대책은 좀 안 되는 거 아니냐라고 하는 지적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나오는 겁니다
02:00네, 그럼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이런 대형 사고부터 우선적으로 좀 예방해야 되는 게 아닌가 싶어요
02:06네, 전문가들의 지적도 똑같습니다
02:08싱콜 원인을 기피와 위험도에 따라서 다시 분류하고 대형 사고부터 우선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02:14이렇게 지적을 하고 있는 건데요
02:16그러니까 지하공사장이 지질 전문가를 투입해서 지질 구조를 미리 분석을 한다거나
02:21또 지하공사장 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지적도 내놓고 있습니다
02:26또 이런 지적들이 계속 나오고 여론이 만들어지니까 정부가 다음 달 말까지
02:31전국 대형 굴착공사장 98곳을 대상으로 특별 점검에 들어간다고 발표를 했거든요
02:38그러니까 특별 점검할 때도 이런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을 해서
02:42그냥 이번에 반짝 그냥 가서 점검만 할 게 아니라
02:44상시적으로 감시, 관리, 감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들을 마련해야 될 것 같습니다
02:49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