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관객이 직접 무대에 뛰어들어 참여하는 공연을 '이머시브 공연'이라고 하는데요?

팬데믹 시대를 버티게 했던 이른바 집콕 관람에 싫증이 난 관객들을 위한 참여형 공연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공연 직전 와인 한잔으로 긴장을 풀기도 하고 무용수와 한데 어우러져 관객이 공연의 일부가 됩니다.

이광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공중에 매달린 거대한 지구본 위를 관객들 머리 위로 수직으로 걷거나

세상이 쪼개진 듯, 수족관 유리 바닥을 마주 보며 무용수들이 격한 감정을 실어 절절하게 연기합니다.

참여형 공연의 대표격인 푸에르자 부르타가 2013년 내한 공연 이후 6번째로 한국 관객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공연장 4면을 알뜰하게 쓰는 이 공연은 이른바 코로나 블루를 겪은 관객들이 다시 인간성을 찾는 모습을 무대로 투영하고 싶었습니다.

[파비오 에다르도 다퀼라/연출 : 공연장에 들어서면 '매직박스'라고 불리는 커다란 무대를 만나게 됩니다. 바로 이곳에서 천국에 오른 것 같은 엄청난 해방감을 느끼게 될 겁니다.]

배우 10여 명의 대담한 공중 연기와 물과 바람을 활용한 특수효과에 참여형 공연이 멋쩍은 관객들도 무대 중앙으로 한 발짝씩 다가섭니다.

70분 동안 구경꾼이 아니라 공연 일부가 됩니다.

[이현민/관객 : 제가 연기자를 경험해볼 그런 상황이 없었는데 뭔가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지구본이 있었는데 그걸 옆으로 하고 뛰었어요.]

[김지윤/관객 : 에너지 넘치고 사람들 다 같이 참여할 수 있는 참여형 공연이 처음이었거든요. 신나고 좋았어요. 다른 공연은 동떨어져서 정말 본다는 느낌인데 여기 공간에 같이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아요.]

공연 시작 30분 전, 관객들이 객석을 건너뛰고 계단으로 올라가 무대 바닥을 밟습니다.

재활용이 가능한 텀블러에 담긴 화이트 와인을 부딪치며 추억을 한 컷 남기고

아일랜드 술집을 그대로 옮겨놓은 공간을 관찰하며 배우들이 연습했던 흔적들을 따라가 봅니다.

[문건영 /'원스' 관객 : 뮤지컬 배우들과 같은 공간에서 함께 공연 전에 공존할 수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해서 보러 왔는데 되게 기대되고요.]

[이상우 /'원스' 관객 : 뮤지컬이라는 게 관객과 하나 된다? 정적이었거든요 무대에서 바라보기만 하고 원스는 그거와 다르게 관객들이 무대에 올라가서 함께 즐...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273&key=20250426191547788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관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이머시브 공연의 인기, 조선 화단의 거장, 겸재 정선의 작품 세계, 미담만큼 차곡차곡 쌓아올린 연기내공 배우 강한을 만나봅니다.
00:13쏙 보이는 랭킹에서는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실존 인물 이야기 TOP5 알아볼게요.
00:20최근 들어 관객이 감상만 하는 게 아니라 직접 참여하고 만들어가는 이머시브 공연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00:30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허물어진 곳에서 함께 움직이고 환호하다 보면 관객도 공연의 일부가 되는데요.
00:38우리를 환상의 세계로 이끄는 가슴 뛰는 현장 바로 가보실까요?
00:43공중에 매달린 거대한 지구본 위를 관객들 머리 위로 수직으로 걷거나 세상이 쪼개진 듯 쪼간 유리 바닥을 마주보며 무용수들이 격한 감정을 실어 절절하게 연기합니다.
00:57참여형 공연의 대표격인 프레이르자 브루타가 2013년 내안공연 이후 여섯 번째로 한국 관객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01:08공연장 참여를 알뜰하게 쓰는 이 공연은 이른바 코로나 블루를 겪은 관객들이 다시 인간성을 찾는 모습을 무대로 투영하고 싶었습니다.
01:17배우 10여 명의 대담한 공중 연기와 물과 바람을 활용한 특수 효과에 참여형 공연이 멋쩍은 관객들도 무대 중앙으로 한 발짝씩 다가섭니다.
01:4570분 동안 구경뿐이 아니라 공연 일부가 됩니다.
01:50제가 연기자를 경험해볼 그런 상황이 없었는데 뭔가 그거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02:01지구본이 이렇게 있었는데 그거를 이렇게 옆으로 하고 뛰었어요.
02:06에너지 넘치고 엄청 다 같이 즐길 수 있는 참여형 공연도 처음이었거든요.
02:11그래서 신나고 좋았던 것 같아요.
02:13다른 공연은 동떨어져서 정말 내가 본다는 느낌으로 있었으면 여기는 진짜 내가 여기 공간에 같이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아요.
02:24공연 시작 30분 전 관객들이 객석을 건너뛰고 계단으로 올라가 무대 바닥을 밟습니다.
02:30재활용이 가능한 텀블러에 담긴 화이트 와인을 부딪히며 추억을 한 컷 남기고 와요.
02:37아일랜드 술집을 그대로 옮겨놓은 공간을 관찰하며 배우들이 연습했던 흔적들을 따라가 봅니다.
02:44뮤지컬 배우들이랑 같은 공간에서 함께 이렇게 공연 전에 같이 공존하는 느낌을 느낄 수 있다고 해서 보러 오게 됐는데 일단 지금 되게 기대되고요.
02:57뮤지컬이라는 게 관객과 그냥 이게 하나 된다라고 하는 게 꼭 되게 정적이었거든요.
03:03무대에서 바라보기만 하고 그런데 원스는 그거랑 다르게 꼭 관객들이 무대에 올라가서 함께 즐기고 한다는 게 정말로 색다른 것 같아요.
03:13일반적으로는 무대에 올라갈 수는 없잖아요.
03:1710년 만에 돌아온 원스 제작진과 배우들은 예전과 달라진 풍경에 관객들도 그만큼 성장한 것이라며 단체 버스킹으로 보답합니다.
03:28그때만 해도 이런 형식들이 굉장히 불편했고 좀 낯설었고 어색해했던 분들이 굉장히 많으셨어요.
03:35그래서 사실은 그 객석이 좀 어 쟤네 뭐야 이런 느낌의 공연을 보는 분위기였다면 지금은 사실 배우들보다 훨씬 더 많이 즐기시는 관객들이 많아요.
03:48프리쇼부터 시작해서 쭉 뭔가 이 공연이 관객분들과 정말 함께 숨쉬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03:54제가 그동안 공연했던 거랑 조금은 다르게 액자 안에서 내가 공연을 한다는 느낌이 아니고 이 같은 공간에서 같이 숨쉬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공연이었어가지고.
04:04관객들의 관람 문화가 바뀌고 무대와 객석의 경계도 점점 희미해지면서 숨죽여 공연을 보던 이른바 시체 관극에 저항하는 공연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04:16YTN 이광연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