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P...? 머슬 벌쓰데이 파티...?ㅋㅋ"
골밀도&골강도 강화에 도움을 준다는 오늘의 시크릿 솔루션의 정체는?!
몸신으로 바꿔주는 건강 메이크오버 프로그램
[몸신의 탄생] 매주 화요일 밤 8시 10분 방송
카테고리
📺
TV트랜스크립트
00:00이제 뼈도 좀 튼튼해지고 있고 여러 가지로 좋은 방향으로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00:04여기에 도움을 준 시크릿 솔루션 이제 또 확인하겠습니다.
00:07좋습니다. 오늘의 시크릿 솔루션의 정체는 바로 요고랍니다.
00:13요고랍니다.
00:16요건 뭘까요?
00:18발색 가루인데 뭘까요?
00:19뭘까요? 요겁니다.
00:22MVP.
00:23MVP 많이 들어봤는데 제가 이제 약자가 궁금한데
00:26뭐 좀 기억나는 게.
00:28이게 하나라고.
00:29버스테 파리? 머슬 버스테 파리?
00:31뭐 이런.
00:33파리 비커!
00:34경기였고요.
00:35우리 웃기기로만 먹었구나.
00:36알려주시죠.
00:36왜 이렇게 창피하지 뭔가.
00:38네 MVP는요.
00:40밀크 베이직 프로틴의 약자입니다.
00:43즉 우유에서 유래한 단백질이라는 뜻인데요.
00:46이 MVP는 우유에 아주 소량으로 존재하는 알칼리성 생리활성 물질이면서
00:52이게 단일 물질이 아니고요.
00:54여러 가지 단백질이 복합되어 있는 그룹 명이기도 합니다.
00:57우유에는 사실 여러 가지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01:00MVP는 이 많은 우유 단백질 중에서도
01:04락토페린이라는 성분이 굉장히 풍부하게 들어가 있습니다.
01:08사실 락토페린은 사람의 초유에도 많이 들어있는데요.
01:12그러다 보니까 면역에 좋다는 것으로도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01:16근데 여기서 또 하나.
01:17골밀도를 올려서 뼈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01:21실제 한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 여성에게 6개월간 MVP를 섭취하게 하고요.
01:28전후 골밀도를 비교를 해봤는데요.
01:31MVP를 섭취하기 전에 비해서 골밀도가 3.42% 증가한 것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01:37그런데 보통 골밀도가 10% 올라가면 골다공증이 생기는 시기를 13년 미칠 수 있다고 하거든요.
01:44그러니까 골밀도가 3% 증가하는 것은 매우 무의미한 수치라고 말을 할 수가 있는 거죠.
01:51자꾸 뭘 해도 얘기하다 보니까 아까 골절 사진들, 분쇄골절 너무 생각해서 무서웠는데
01:56골밀도가 좋아져야지 우리가 그런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건데
01:59구체적으로 MVP가 뼈에 어떻게 골밀도 좋아지는 데 도움이 되는 건가요?
02:05뼈에도 뼈에 세포가 있어서 뼈를 단단하게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게 일을 계속하고 있는데요.
02:11이 세포들이 어떻게 일을 하고 있는지 한번 보여드릴게요.
02:15화면을 보시면 파골세포라는 게 있어요.
02:18이 파골세포는 쉽게 말하면 뼈를 저기 갉아먹는 세포라고 보면 되는데요.
02:23안 좋은 부위를 이제 뼈를 긁어내는 거죠. 쉽게 말하면
02:26실제로 옴폭하게 이렇게 파악이 들어갔네요.
02:29그래서 실제로 저렇게 활동을 하고
02:31오른쪽에는 이제 조골세포라는 거는 뼈를 조성 만든다 이거예요.
02:35진짜 이렇게 덮었다.
02:36뼈에 파골된 부위를 이 조골세포가서 뼈의 기초를 튼튼하게 해줘서
02:41콜라겐을 분비하고 그 주위에 칼슘과 이를 침착하게 해서
02:45뼈를 단단하게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02:48그래서 이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활동으로 인해서
02:51뼈 건강을 유지하게 해주는 거죠.
02:53이렇게 되면서 계속 뼈가 튼튼해지는 거예요.
02:57어떻게 찍었대요? 이거를?
02:58신기하네요. 저희가 늘 말로만 듣다가 이렇게 화면을 확대해서 보니까
03:05완전 실감납니다.
03:07그렇죠. 기억을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03:09원래 한 20, 30대에는 이 세포들이 균형있게 일을 하는데
03:13문제는 나이가 들면서 이제 조골세포, 파골세포의 그 속도
03:17그 속도나 그 양이 달라지는데
03:20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는 나이가 들면서 더 많아지고
03:24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는 나이가 들면서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03:30한 연구에서 뼈 파괴세포의 수를 살펴봤는데요.
03:3450세 이하의 뼈 파괴세포는 489개인 반면에
03:3955세 이상은 939개로 약 92%나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03:46반면에 뼈를 생성하는 세포는 줄어들었는데요.
03:5030대에서 50대가 가지고 있는 뼈 생성세포 수에 비해서
03:5460대 이상이 가지고 있는 뼈 생성세포 수는
03:57약 2배 정도 적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04:01반이군요, 60대는.
04:03네, 그렇습니다.
04:04그러니까 나이가 들수록 뼈가 만들어지는 것보다
04:07뼈가 파괴되는 게 많아지다 보니까
04:09그러다 보니 뼈에 점점 구멍이 나고
04:12골다공증이 생길 수밖에 없는 거죠.
04:14그러면 MBP가 뼈 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는 건가요?
04:18네, 맞습니다.
04:18MBP가 뼈 형성에 필요한 오스테오 칼신이라고 하는 호르몬을 증가시킵니다.
04:24이 오스테오 칼신이 많아야지 뼈의 밀도를 높여주는데요.
04:29실제 칼슘은 뼈의 주요 성분인데 뼈를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04:35이 칼슘이 뼈에 제대로 붙어야 되는데
04:37엉뚱하게 혈액을 타고 뼈가 아닌 곳에 쌓이기도 해요.
04:42그게 어디냐?
04:43혈관에 붙게 되면 혈관 석회화, 심혈관 질환 이런 것들을 이야기를 합니다.
04:47그래서 오스테오 칼신은 이때 체내에 있는 칼슘을 뼈로 끌고 가서 흡수시키는 역할을 하거든요.
04:55MBP가 오스테오 칼슘을 활성화해서 칼슘이 제대로 뼈에 붙을 수 있게 해서
05:00뼈의 밀도를 올리는데 도움을 주는 거죠.
05:02실제 한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 여성 35명한테 두 그룹으로 나눈 뒤에
05:09한 그룹에만 6개월간 MBP를 섭취하게 했는데요.
05:12그 결과 MBP를 섭취한 그룹에서 혈청 오스테오 칼슘 농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05:20또한 허리뼈의 골밀도 역시 1.57%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는데요.
05:25이는요. MBP를 섭취하지 않은 대저군에 비해서 무려 12배 증가한 골밀도 수치입니다.
05:33결국 이것도 다 밸런스 맞추는 것 같은데
05:36이 뼈 세포의 균형, 결국 뼈를 만드는 세포도 일을 하고
05:41파괴하는 세포도 속도를 늦춰서 균형을 맞추면 고르면 좋은 거 아닙니까?
05:47네, 맞습니다. MBP는요. 뼈를 파괴하는 파골 세포를 억제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가 있는데요.
05:52보신 첫 번째 사진은 토끼의 대퇴골입니다.
05:55파골 세포의 뼈 흡수 활동으로 뼈의 구멍이 지금 숭숭 뚫린 게 보이시죠?
06:01네, 이 뼈에 MBP를 투여하고 변화를 지켜봤습니다.
06:05두 번째 사진인데요.
06:07진짜?
06:08네, MBP를 투여한 결과 뼈에 난 구멍 숫자 자체가 줄어들었고요.
06:12네, 크기도.
06:13구멍의 크기도 줄어든 걸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06:17MBP 성분이 파골 세포의 활동을 막아서 골 흡수를 억제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06:23그런데 우리 어머님 아까 보셨는데
06:25나는 뼈 건강에 되게 신경 쓰고 있었거든요.
06:28우유 아까 드셨잖아요. 우유. 빵이랑 우유 같이 드셨는데
06:31어머님들도 뼈 건강을 위해 우유 잘 드세요.
06:33저도 우유를 매일 먹는데
06:35둘 중에 그냥 하나만 먹으면 되는 거 아니에요?
06:37따로 꼭 먹어야 되나요?
06:39네, 우유도 뼈 건강에 좋은 거 맞는데요.
06:41사실 이 문제는요. MBP를 우유로 드시려면
06:45엄청나게 많은 우유를 드셔야 됩니다.
06:48엄청 얼만큼이에요?
06:49우유 속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락토페린 함량은요.
06:52약 0.005%
06:54아주 적은 양만 들어있기 때문인데요.
06:58MBP 하루 권장량인 40mg을 우유로 섭취하시려면
07:02무려 130잔 드셔야 돼요.
07:04우와
07:05도전?
07:07130잔
07:08저는
07:08설사 엄청 할 것 같은데
07:10130잔
07:11그래도 그 사이에 3주간 MBP를 잘 챙겨드셨잖아요.
07:15드시면서 궁금한 점 뭐 있으셨을까요?
07:18지금 꾸준히 70대에도 이게 효과가 있을지
07:22너무 늦은 건 아닌지 이런 생각하실 수 있거든요.
07:26늦지 않았습니다. 도움이 될 수가 있습니다.
07:29우리가 앞서서 완경이 되면 여성 호르몬이 감소하니까
07:33골밀도 또한 떨어진다고 말씀드렸잖아요.
07:35이 완경이 여성들에게 6개월 동안 MBP를 섭취하게 하고
07:40요추의 골밀도를 측정을 해봤습니다.
07:42그랬을 때 MBP를 섭취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골밀도가 감소했지만
07:47MBP를 섭취한 그룹에서는 골밀도가 오히려 1.21% 증가했는데요.
07:53그 MBP가 뼈 건강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만경기 여성들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게 증명된 거죠.
08:001% 0.5% 다 소중합니다.
08:03우리가 이제 뼈를 얘기할 때 골밀도를 주로 말하잖아요.
08:08그런데 이제 골강도도 뼈 건강에 중요하다고 말을 합니다.
08:12이 두 가지는 약간 다른 개념인데 골밀도는 알 그대로 뼈가 얼마나 밀도가 좋은지 촘촘한지 보는 거고
08:19골밀도는 뼈의 단단함을 말하는 거예요.
08:21그러니까 쉽게 설명하면 아파트를 지을 때 철근에다 철근을 놓고 시멘트를 붓잖아요.
08:27그래서 철근은 골강도예요.
08:30그리고 이제 골밀도는 시멘트인 거죠.
08:33그런데 이 골강도가 40대부터 약해지기 시작하거든요.
08:36100세까지 요즘에 100세 시대니까 60년에 걸쳐서 40%가 감소되는 것을 알려져 있습니다.
08:43결국 뼈 건강을 위해서는 이제 골밀도뿐만 아니라 골강도도 중요하다 이건데 그러면 이 MVP가 골강도를 지키는 데도 어떻게 도움이 되나요?
08:53네 그렇습니다.
08:54앞서 골강도가요.
08:55뼈가 부러지기 전에 그 충격을 버틸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고 했는데요.
09:00한 연구에서 쥐에게 MVP를 3주 동안 섭취하게 했습니다.
09:03그 결과 부러지기 전까지 버티는 뼈의 힘 그러니까 절단 강도 그리고 뼈를 부러뜨리는 데 드는 힘 절단 에너지가 모두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09:14제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하나 말씀드릴게요.
09:17폐경 후에 18년에서 21년이 지난 완경기 여성에게 1년간 MVP를 섭취하게 했습니다.
09:24그 결과 골강도가 1.5%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는데요.
09:28반면에 MVP를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오히려 골강도가 감소했습니다.
09:34또한 뼈 파괴 지표는 감소했고요.
09:37뼈 형성 지표인 오스테오카신의 수치는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09:43골 밀도뿐만 아니라 골강도에도 도움이 되는데 이 MVP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