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앵커]
시작하겠습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

1. 의식주에서 '식'은 경기나 소득 변화에도 꾸준한 소비가 이뤄지는 대표적인 필수재입니다. 하지만 최근 집밥도 외식도 줄이고 있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식재료 구매와 외식 소비가 동반 감소하는 이례적 현상이 2년 넘게 계속되고 있는데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처음 있는 현상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음식점 소비는 크게 줄기는 했는데요. 

하지만 집밥 수요가 늘면서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13년 만에 최대폭으로 급증했습니다. 

지금처럼 음식료품 소비와 외식 소비가 동시에 줄어드는 것은 특이한 상황인데요.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라는 이중고 속에 지갑을 닫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2. 실제로 젊은층들 사이에선 '무지출 챌린지'가 인기라고요?

일정 기간 동안 지출을 0원으로 줄여보는 '극단적 절약 챌린지'인데요.

매일 돈을 안 쓰고 살 순 없어도 회사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냉장고에 쌓여있던 재료로저녁을 만들어 먹는 등 지출을 최소화하는 겁니다.

온라인 재테크 카페와 SNS에는 무지출을 인증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오고, 배달앱 삭제 챌린지도 유행인데요.

음식을 배달시켜 먹는 일이 일상이 되면서 배달 음식과 배달비에 들어가는 비용을 무시할 수 없게 됐기 때문입니다.

거액의 명품도 한 번에 질러버리는 소비 문화 대신 이제는 절약하는 습관이 하나의 가치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3. 이처럼 소비 문화가 달라지면서 대형마트나 편의점도 짠내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고요?

리퍼 제품과 못난이 농산물 등 '짠내 마케팅'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리퍼 제품이란 성능에는 이상이 없지만 외관에 흠집이 있거나 전시용으로 사용됐던 겁니다.

'인생 2회차', '과거없는 물건은 없다'로 재밌게 마케팅을 하는데요.  

최대 60%까지 할인하는데다 종류도 로봇청소기 등 가전부터 옷과 모자, 생활용품까지 다양해 인기입니다.

못난이 상품도 모양이 예쁘지 않아 상품성은 떨어지지만 맛이나 영양에 문제가 없고 가격까지 저렴해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이에 유통업계는 못난이 상품 코너를 확대하고 구독 서비스까지 내났습니다. 

4. 초저가 경쟁도 벌어지고 있죠?

가격을 낮추기 위한 노력은 제품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있는데요. 

한 생활용품 업체가 3천 원짜리 화장품으로 인기를 끌자 이번엔 대형마트도 참전했습니다. 

4천 원 후반대 화장품을 선보인 건데, 화장품 기업과 손잡고 포장을 단순화해 가격을 낮췄습니다.

한 편의점에선 광고가 붙은 과자도 선보였습니다.  

이른바 광고형 상품인데, 포장지 광고 수익 덕분에 7년 전 가격으로 과자를 판매합니다.

OTT 시장에서도 광고를 보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죠. 

물가가 워낙 오르다보니 조금 불편해도 저렴한 가격을 원하는 소비자를 노린 겁니다. 

5. 그런데 고물가에도 지갑을 여는 소비층이 있다고요?

바로 5060 액티브 시니어입니다. 

여유로운 경제력을 바탕으로 건강과 외모관리, 패션 분야에서 높은 구매력을 갖고 있는데요. 

이 같은 흐름에 맞춰 산업·유통업계에서는 액티브 시니어를 겨냥한 맞춤형 상품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수년간 실적 부진을 겪던 홈쇼핑 업계는 이들을 겨냥한 특화 채널을 만들고 헬스케어와 뷰티 중심 상품을 늘려 실적을 회복하고 있습니다.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특화카드도 쏟아지고 있는데요.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병원과 약국을 비롯해 임영웅 콘서트, 여행 등 문화 생활 관련 결제에 혜택을 제공하는 식입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




신선미 기자 new@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경제산업부의 신선미 차장
00:30현상이 2년 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
00:32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처음 있는 현상인데요.
00:37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음식점 소비는 크게 줄기는 했는데
00:43당시에는 집밥 수요가 늘면서 음식요품 소매 판매는 13년 만에 최대폭으로 급증하기도 했습니다.
00:51지금처럼 음식요품 그리고 외식 소비가 동시에 줄어드는 것은 특이한 상황인데요.
00:57물가 상승 그리고 경기 둔화라는 이중고 속에 지갑을 닿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01:06실제로 젊은 층에서는 지금 무지출 챌린지가 유행이라는데 그게 뭡니까?
01:11일정 기간 동안 지출을 0원으로 줄이는 극단적인 절약 챌린지인데요.
01:16매일 돈을 안 쓰고 살 수는 없어도 회사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그리고 냉장고에 쌓여있던 재료로 저녁을 만들어 먹는 등 지출을 최소화하는 겁니다.
01:28온라인 재테크 카페 그리고 SNS에는 무지출을 인증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오고 배달앱 삭제 챌린지도 유행인데요.
01:36음식을 배달시켜 먹는 일이 일상이 되면서 배달음식 그리고 배달비에 들어가는 비용을 무시할 수 없게 됐기 때문입니다.
01:45거액의 명품도 한 번에 질러버리는 소비 문화 대신 이제는 절약하는 습관이 하나의 가치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01:54한마디로 소비 문화가 달라지고 있는 건데 여기에 발맞춰서 대형마트, 편의점 이런 데서도 이른바 짠내 마케팅을 하고 있다고요?
02:02그게 또 뭐죠? 리퍼 제품 그리고 농산물 등 이렇게 짠내 마케팅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건데요.
02:09리퍼 제품은 성능에는 이상이 없지만 외관에 흠집이 있거나 전시용으로 사용됐던 그런 제품을 말합니다.
02:17인생 2회차, 과거 없는 물건은 없다 이렇게 좀 재밌게 마케팅을 하는데요.
02:22최대 60%까지 할인을 하는 데다 종류도 로봇 청소기 등 가전부터 옷과 모자, 생활용품까지 다양해서 인기입니다.
02:31못난이 상품도 모양이 예쁘지 않아서 상품성은 떨어지지만요.
02:36맛이나 영양에 문제가 없고 가격까지 저렴해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02:41이에 유통업계는 못난이 상품 코너를 확대하고 구독 서비스까지 내놨습니다.
02:48그래서일까요? 기업들도 저가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고요?
02:53맞습니다. 사실상 가격을 낮추기 위한 노력은 제품,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있는데요.
02:58한 생활용품 업체가 3천 원짜리 화장품으로 인기를 끄니까 이번에는 대형마트도 참전을 했습니다.
03:054천 원 후반대 화장품을 선보인 건데요.
03:08화장품 기업과 손을 잡고서 포장을 단순화해서 가격을 낮췄습니다.
03:13한 편의점에서는 광고가 붙은 과자도 선보였습니다.
03:17이른바 광고형 상품인데요.
03:19포장지 광고 수익 덕분에 7년 전 가격으로 과자를 판매합니다.
03:24OTT 시장에서도 보면 광고를 보면서 컨텐츠를 이용을 하니까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으로 볼 수가 있죠.
03:32이렇게 물가가 워낙 오르다 보니 조금 불편해도 저렴한 가격을 원하는 소비자를 노리고 있는 겁니다.
03:40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이렇게 지갑을 닫고 아끼는데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도 지갑을 여는 그런 소비층이 있다고요?
03:48맞습니다. 바로 5060 액티브 시니어인데요.
03:52여유로운 경제력을 바탕으로 건강과 외모 관리, 패션 분야에서 높은 구매력을 갖고 있습니다.
03:59이 같은 흐름에 맞춰 산업, 유통업계에서는 액티브 시니어를 겨냥한 맞춤형 상품을 늘리는 추세인데요.
04:06수년간 실적 부진을 겪던 이 홈쇼핑 업계는 이들을 겨냥한 특화 채널을 만들고
04:11헬스케어, 뷰티 중심 상품을 늘려서 실적을 회복하고 있습니다.
04:17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특화 카드도 쏟아지고 있는데요.
04:20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병원과 약국을 비롯해
04:23임영웅 콘서트, 여행 이런 쪽에 문화생활 관련 결제의 혜택을 제공하는 시기입니다.
04:31지금까지 경제산업부의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 수고했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