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12살 손자가 숨진 '강릉 급발진 의심 사고' 민사소송에서 법원이 차량 제조사의 손을 들어줬다는 소식 얼마 전 전해드렸는데요.

이번 판결을 계기로, 소비자가 차량 결함을 입증해야 하는 현행 제조물책임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22년 12월, 12살 이도현 군이 숨진 '강릉 급발진 의심 사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운전자가 페달을 잘못 밟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습니다.

반면 경찰과 검찰은 증거가 부족하다며, 운전자인 할머니에 대해 무혐의 처분했습니다.

형사책임은 벗었지만, 민사재판 결과는 달랐습니다.

법원은 차량 결함을 인정하지 않고, 유족이 제조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최근 13년간 교통안전공단에 접수된 급발진 의심 사고는 790여 건.

하지만 하급심에서 제조사 책임이 인정된 건 4건에 불과하고, 대법원 확정판결은 단 한 건도 없습니다.

소비자에게 입증 책임을 지우는 제조물책임법이 이런 결과의 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핵심 기술 정보에 접근할 수 없는 일반 소비자가 차량 결함을 입증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반주일 / 상명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교수 : 입증 문턱이 너무 높고, 그다음에 입증 수단이 없다는 거예요.]

도현 군 가족 역시 자비로 재연 실험과 정밀 음향 감정까지 진행해 결함을 주장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하종선 / 유족 측 변호사 : 급발진 민사소송에서, 형사재판에서 저희보다 더 많은 것을 한 사건은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제조사가 차량 결함이 없음을 증명하거나 소비자의 입증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런 내용을 담은 제조물책임법 개정안은 21대 국회에선 산업계 반발 등에 막혀 폐기됐고, 이번 22대 국회에서 논의가 다시 진행 중입니다.

[이상훈 / 고 이도현 군 아버지 : 법은 기업 편에 섭니다. 국민을 지키는 법이 왜 존재하지 않습니까? 무엇이 더 희생돼야 이 법은 바뀌겠습니까?]

YTN 송세혁입니다.


영상기자 : 조은기





YTN 송세혁 (shs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518021434025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12살 손자가 숨진 강릉 급발진 의심사고 민사소송에서 법원이 차량 제조사의 손을 들어줬다는 소식 얼마 전 전해드렸는데요.
00:09이번 판결을 계기로 소비자가 차량 결함을 입증해야 하는 현행 제조물 책임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00:17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00:212022년 12월, 12살 이도현 군이 숨진 강릉 급발진 의심사고.
00:27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운전자가 페달을 잘못 밟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습니다.
00:34반면 경찰과 검찰은 증거가 부족하다며 운전자인 할머니에 대해 무혐의 처분했습니다.
00:41형사 책임은 벗었지만 민사 재판 결과는 달랐습니다.
00:44법원은 차량 결함을 인정하지 않고 유족이 제조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00:51최근 13년간 교통안전공단에 접수된 급발진 의심사고는 790여 건.
00:59하지만 하급심에서 재조사 책임이 인정된 건 4건에 불과하고 대법원 확정 판결은 단 한 건도 없습니다.
01:07소비자에게 입증 책임을 지우는 제조물 책임법이 이런 결과의 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01:12핵심 기술 정보에 접근할 수 없는 일반 소비자가 차량 결함을 입증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01:26도연군 가족 역시 자비로 재현 실험과 정밀 음향 감정까지 진행해 결함을 주장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01:35급발진 민사소송에서 또 형사재판에서 저희보다 더 많은 것을 한 사건은 없습니다.
01:44전문가들은 제조사가 차량 결함이 없음을 증명하거나 소비자의 입증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01:51이런 내용을 담은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은 21대 국회에선 산업계 반발 등에 막혀 폐기됐고
01:57이번 22대 국회에서 논의가 다시 진행 중입니다.
02:01법은 기업편에 섭니다.
02:05국민을 지키는 법이 왜 존재하지 않습니까?
02:09무엇이 더 희생되어야 이 법은 바뀌겠습니까?
02:14YTN 송세혁입니다.
02:15국회선수
02:25국회에선, 본인의 법과 정보로 도와드릴 수 있는 법과 정보를 수 없는 법입니다.
02:29국회선수
02:30국회선수
02:32국회선수
02:33국회선수
02:33국회선수
02:35국회선수
02:36국회선수
02:37국회선수
02:39국회선수
02:41국회선수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