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국내 신규확진 50명 아래로…'재확진' 또다른 뇌관
[앵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6일만에 50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확산세가 다소 둔화된 모습입니다.
하지만 나라 밖 사정이 심각한 데다, 완치 판정을 받았는데 다시 확진되는 사례가 잇따라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입니다.
김지수 기자와 함께 코로나19 관련 이슈 살펴보겠습니다.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완치 판정을 받고도 다시 코로나19로 확진받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게다가 재확진 사례 중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거 나왔다면서요?
[기자]
국내 코로나19 재확진 사례는 모두 51건입니다. 재확진 문제는 사태 초기부터 대두됐는데요. 이번에 이 사안이 다시 주목받게 된 건 코로나19가 집단 발생해 한동안 문을 닫은 경북 봉화 푸른요양원이 다시 운영에 들어가면서부터입니다. 이 요양원 직원과 입소자 등 7명이 다른 곳에서 치료받고 확진 판정을 받은 후 요양원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겁니다. 게다가 더 큰 문제는 재확진 판정을 받은 이들 7명이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확진 받았다는 사실입니다. 만약 이들이 요양원으로 돌아오지 않았다면, 자신들이 감염됐는지 모른 상태에서 다른 사람들과 접촉해 지역사회 감염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큽니다.
코로나19의 확산세를 쉽게 잡지 못하는 이유, 나아가 종식이 빨리 이뤄지기 어렵다고 전망되는 이유들 중 하나가 무증상 감염인데, 여기에 '재확진'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완치했는데, 왜 다시 확진되는 일이 발생하는지 관심이 쏠리는데요. 의료계에서는 몸 속에 남아있는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거나 '음성'으로 나온 검사가 잘못됐을 가능성을 추정합니다.
사람 몸 속에 들어온 바이러스는,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는데 완치 판정을 내릴 정도로 바이러스가 줄었다가 다시 증폭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게 바이러스 재활성화입니다. 또 이런 지적도 나옵니다. 코로나19 검사를 위해서는 상기도 부분의 검체를 빼내는데요. 상기도 검체는 코 안 깊숙한 곳에서 긁어내야 하는데, 코 앞쪽에서 채취하면 실제 '양성'인 환자도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는 겁니다.
당국은 재확진 사례가 다수 발생한 대구·경북 지역에 역학조사팀을 보내 재감염인지, 바이러스 재활성화 때문인지 등을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들은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를 택하고 있는데요. 반대로 사회를 통제하지 않는 나라들이 있습니다. 스웨덴이 대표적인데, 이런 스웨덴이 대응 방침을 바꾼다면서요?
[기자]
북유럽의 복지국가인 스웨덴은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 대신 '집단면역'을 선택해 주목받았었죠. '집단면역'은 예방접종이나 감염으로 한 집단 중 일정 비율이 면역력을 갖게 되면, 집단 전체가 그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코로나19는 백신이 없으니 스웨덴에서는 택한 방법은, 자연스러운 감염으로 일정 비율의 사회 구성원이 면역력을 가지도록 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스웨덴 정부가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자 이동 제한과 공공생활 규제 등 '봉쇄'를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독일과 영국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그동안 스웨덴 정부는 자택 근무와 고령자의 자가격리를 독려하고 50명이 넘게 모이는 모임을 금지하는 등 일부 봉쇄 정책을 취했지만, 학교나 식당, 체육관과 같은 공공시설의 문을 닫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상황이 악화되면서 정부의 접근 방법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커졌습니다. 스웨덴에서 확진자는 지난 달 4일 52명에서 이달 4일 6천400여명으로 한 달 새 120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사망자도 지난달 10일 처음 발생한 후 400명이 넘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난달 말 2천여명의 스웨덴 학자는 정부에 좀 더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는 공개 서한을 보냈습니다. 스웨덴의 실제 상황은 훨씬 더 심각하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왜냐하면 스웨덴에서는 증세가 심각한 경우나 의료진에 대해서만 검사가 이뤄지고 있어 실제로는 확진자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앵커]
코로나19 확산세로 각 나라들은 관련 지침을 어길 경우 강력 대응하고 있는데요. 국내에서도 자가격리 이탈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처벌 규정을 대폭 강화했잖습니까. 필리핀에서는 군인과 경찰에 사살 명령이 내려졌어요.
[기자]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군인과 경찰에 사살 명령권을 줬습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봉쇄 기간에 문제를 일으키며 군인과 경찰에 위협을 가할 경우 사살하라고 명령한 겁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1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지금은 질서유지가 중요한 만큼 정부 지침을 따라 달라"면서 이 같이 명령하고 의료진에 위해를 가하는 행위를 단속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일요일에는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설치된 한 검문소에서 60대 남성이 흉기로 경찰관을 위협하다가 사살됐습니다. 술에 취한 이 남성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고 주의를 주는 담당 직원에게 폭언을 퍼붓다가 이를 제지하는 경찰관에서 흉기를 휘두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급진적이고 과격한 정책 추진으로 '필리핀의 트럼프'로 불리는 인물인데요. 과거,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했을 때는 군인과 경찰에 "마약상을 죽여도 좋다"며 1억원이 넘는 포상금과 승진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60명이 넘는 마약 용의자가 사살됐고 이에 겁먹은 마약범들이 경찰에 줄줄이 자수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현 대통령을 비롯해 집권 정부의 성향이 과격한데다 현재 필리핀 상황이 심각해 강력한 대책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필리핀에서 확진자는 3천200여명이고 사망자는 150명이며 하루 신규 확진자가 500명이 넘는 등 확산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필리핀 정부는 야외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정부 방침을 반복적으로 어길 경우 체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오늘 인터넷에서는 호랑이도 코로나19에 걸렸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어요. 미국 내 코로나19의 ...
[앵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6일만에 50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확산세가 다소 둔화된 모습입니다.
하지만 나라 밖 사정이 심각한 데다, 완치 판정을 받았는데 다시 확진되는 사례가 잇따라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입니다.
김지수 기자와 함께 코로나19 관련 이슈 살펴보겠습니다.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완치 판정을 받고도 다시 코로나19로 확진받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게다가 재확진 사례 중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거 나왔다면서요?
[기자]
국내 코로나19 재확진 사례는 모두 51건입니다. 재확진 문제는 사태 초기부터 대두됐는데요. 이번에 이 사안이 다시 주목받게 된 건 코로나19가 집단 발생해 한동안 문을 닫은 경북 봉화 푸른요양원이 다시 운영에 들어가면서부터입니다. 이 요양원 직원과 입소자 등 7명이 다른 곳에서 치료받고 확진 판정을 받은 후 요양원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겁니다. 게다가 더 큰 문제는 재확진 판정을 받은 이들 7명이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확진 받았다는 사실입니다. 만약 이들이 요양원으로 돌아오지 않았다면, 자신들이 감염됐는지 모른 상태에서 다른 사람들과 접촉해 지역사회 감염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큽니다.
코로나19의 확산세를 쉽게 잡지 못하는 이유, 나아가 종식이 빨리 이뤄지기 어렵다고 전망되는 이유들 중 하나가 무증상 감염인데, 여기에 '재확진'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완치했는데, 왜 다시 확진되는 일이 발생하는지 관심이 쏠리는데요. 의료계에서는 몸 속에 남아있는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거나 '음성'으로 나온 검사가 잘못됐을 가능성을 추정합니다.
사람 몸 속에 들어온 바이러스는,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는데 완치 판정을 내릴 정도로 바이러스가 줄었다가 다시 증폭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게 바이러스 재활성화입니다. 또 이런 지적도 나옵니다. 코로나19 검사를 위해서는 상기도 부분의 검체를 빼내는데요. 상기도 검체는 코 안 깊숙한 곳에서 긁어내야 하는데, 코 앞쪽에서 채취하면 실제 '양성'인 환자도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는 겁니다.
당국은 재확진 사례가 다수 발생한 대구·경북 지역에 역학조사팀을 보내 재감염인지, 바이러스 재활성화 때문인지 등을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해 많은 나라들은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를 택하고 있는데요. 반대로 사회를 통제하지 않는 나라들이 있습니다. 스웨덴이 대표적인데, 이런 스웨덴이 대응 방침을 바꾼다면서요?
[기자]
북유럽의 복지국가인 스웨덴은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 대신 '집단면역'을 선택해 주목받았었죠. '집단면역'은 예방접종이나 감염으로 한 집단 중 일정 비율이 면역력을 갖게 되면, 집단 전체가 그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코로나19는 백신이 없으니 스웨덴에서는 택한 방법은, 자연스러운 감염으로 일정 비율의 사회 구성원이 면역력을 가지도록 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스웨덴 정부가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자 이동 제한과 공공생활 규제 등 '봉쇄'를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독일과 영국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그동안 스웨덴 정부는 자택 근무와 고령자의 자가격리를 독려하고 50명이 넘게 모이는 모임을 금지하는 등 일부 봉쇄 정책을 취했지만, 학교나 식당, 체육관과 같은 공공시설의 문을 닫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상황이 악화되면서 정부의 접근 방법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커졌습니다. 스웨덴에서 확진자는 지난 달 4일 52명에서 이달 4일 6천400여명으로 한 달 새 120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사망자도 지난달 10일 처음 발생한 후 400명이 넘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난달 말 2천여명의 스웨덴 학자는 정부에 좀 더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는 공개 서한을 보냈습니다. 스웨덴의 실제 상황은 훨씬 더 심각하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왜냐하면 스웨덴에서는 증세가 심각한 경우나 의료진에 대해서만 검사가 이뤄지고 있어 실제로는 확진자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앵커]
코로나19 확산세로 각 나라들은 관련 지침을 어길 경우 강력 대응하고 있는데요. 국내에서도 자가격리 이탈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처벌 규정을 대폭 강화했잖습니까. 필리핀에서는 군인과 경찰에 사살 명령이 내려졌어요.
[기자]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군인과 경찰에 사살 명령권을 줬습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봉쇄 기간에 문제를 일으키며 군인과 경찰에 위협을 가할 경우 사살하라고 명령한 겁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1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지금은 질서유지가 중요한 만큼 정부 지침을 따라 달라"면서 이 같이 명령하고 의료진에 위해를 가하는 행위를 단속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일요일에는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설치된 한 검문소에서 60대 남성이 흉기로 경찰관을 위협하다가 사살됐습니다. 술에 취한 이 남성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고 주의를 주는 담당 직원에게 폭언을 퍼붓다가 이를 제지하는 경찰관에서 흉기를 휘두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급진적이고 과격한 정책 추진으로 '필리핀의 트럼프'로 불리는 인물인데요. 과거,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했을 때는 군인과 경찰에 "마약상을 죽여도 좋다"며 1억원이 넘는 포상금과 승진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60명이 넘는 마약 용의자가 사살됐고 이에 겁먹은 마약범들이 경찰에 줄줄이 자수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현 대통령을 비롯해 집권 정부의 성향이 과격한데다 현재 필리핀 상황이 심각해 강력한 대책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필리핀에서 확진자는 3천200여명이고 사망자는 150명이며 하루 신규 확진자가 500명이 넘는 등 확산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필리핀 정부는 야외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정부 방침을 반복적으로 어길 경우 체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오늘 인터넷에서는 호랑이도 코로나19에 걸렸다는 소식이 화제가 됐어요. 미국 내 코로나19의 ...
Category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