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살아도 된다'…사무실·유학 지원 나선 지자체들

  • 6개월 전
'안 살아도 된다'…사무실·유학 지원 나선 지자체들

[앵커]

지자체들도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한계에 부딪힌 양적 증가보다는 지역과 관계를 맺을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인데요.

'워케이션'과 '체류형 교육' 등이 대표적입니다.

김경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숲에 둘러싸인 한옥마을.

전남 곡성의 '러스틱타운'입니다.

직장인을 위한 워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올해 59개 기업이 다녀갔습니다.

구례로 이주한 청년들이 아이디어를 내고, 또 운영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노력과 성과에 곡성군은 71억원을 들여 대규모 '워크빌리지'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제조업이나 이런 부분보다는 많이 일하는 방식이 달라졌잖아요. 기업들이 일단 오고 가게끔 만들자는 개념에서 시작하게 됐던 것 같아요."

도시에서 살던 40살인 박동혁 씨는 최근 주소를 구례로 옮겼습니다.

지난 1년 구례 체류형농업창업지원센터에서의 교육이 바탕이 됐습니다.

올해 모두 35세대가 교육을 받았습니다.

모두 타지역에 주소를 둔 사람들로, 절반이 넘는 세대가 구례에 정착하기로 했습니다.

"충분히 권하고 싶습니다. 주변 분들이나 지자체 공무원분들께서 많이 도와주시고 열린 마음으로 좀 들어주시고…"

지리산 품에 안긴 작은 학교.

초등학생들이 서로 도와가며 문제를 풀어나갑니다.

이 학교 전교생은 모두 30명입니다.

7명은 서울 등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른바 유학 온 학생들입니다.

"지역 소멸 위기에 있잖아요. 특히나 학교가 그 마을의 중심인데 저희 학교도 당장 내년에
지역민 아기가 들어올 아기는 딱 한 명밖에 없어요."

기간은 보통 1년으로, 농촌에 매료돼 연장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저희 아이들은 저도 이제 일을 했기 때문에 학교 끝나면 학원으로 돌았어요. 여기 오니까 진짜 학교 끝나고 이런 넓은 들판에서…"

지방소멸의 대안으로 인구를 늘리는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과 관계를 맺도록 하는 새로운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문제에 접근하고 고민하고 내놓은 대안들입니다.

정부 주도가 아닌 지자체 중심의 정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지역이 스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해야만 다양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고 다양한 대응책이 나올 거라고 보여집니다."

언젠가는 내가 사는 지역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지방소멸의 위기.

정주인구뿐만아니라 생활인구와 관계인구를 늘리려는 다양한 노력들 속에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 마련도 필요하다는 목소리입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지방소멸 #생활인구 #관계인구 #농촌유학 #체류형농촌교육 #귀농 #워케이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