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국회에서 4대 그룹(삼성·SK·LG·현대차) 싱크탱크 수장들과 머리를 맞댔다. 민주연구원이 주최한 ‘트럼프 2.0시대 핵심 수출기업 고민을 듣는다’ 토론회에서 국제 통상 문제 해법과 관련해 “일선 기업인, 경제인들의 의견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의 좌장을 맡은 이 대표는 실용주의 성장론에 입각한 ‘친(親)기업’ 기조를 여과 없이 드러냈다. “과거 중진국 입장에서 산업 발전을 기획할 때는 정치나 전문 관료들의 실력이 충분해 정부 주도로 문제를 해결해 왔다면, 이제는 민간의 역량이 정부 역량을 뛰어넘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 정치권과 행정 관료들의 역량만으로는 해결책을 찾아내기가 그렇게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어 “저희는 여러분이 필요로 하는 것들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속하게 만들어 내는 게 목표”라며 “최대한 경청하고 메모해 정책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비공개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해외 시장 다변화 ▶첨단산업 인재 육성 ▶수출기업 물류 지원 ▶중소기업 납품단가연동제 확대 등을 요구했다고 한다. 민주당이 처리를 망설이고 있는 반도체특별법과 관련해 “각국이 이미 시행 중인 반도체 보조금과 세제 지원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이 대표가 “‘반도체법에서 다른 부분은 이견이 없는데 주 52시간 적용 예외 조항만 문제가 되고 있다’면서 ‘경제계가 양보해 이것만 빼고 나머지를 우선 처리하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00개 하려다가 안 하는 것보다야, 50개라도 먼저 하는 게 낫지 않냐”는 말도 했다. 한 참석자는 통화에서 “양보 가능성에 대해 기업 측 참석자 중 아무도 답을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민주당은 반도체법에서 주 52시간 적용 예외 조항을 뺀 나머지를 먼저 입법하는 ‘단계적 처리’...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899?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