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주한 중국 대사가 한글로 쓴 SNS 글도 논란입니다.

미국이 상호 관세를 유예한 건 중국의 반격과 저지 덕분이니 잊지 말라는 메시지를 올린 겁니다.

일각에선 '뭘 생색내고 싶은거냐' '볼썽사나운 공치사'같은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주희 기자입니다.

[기자]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결정은 중국의 역할 덕분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다이 대사는 어제 자신의 SNS에 중국어와 한국어로 각각 올린 글에서 "중국의 단호한 반격과 저지가 없었다면 90일 유예 기간은 아예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잊지 말라. 이것은 단지 90일의 유예일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을 거론하진 않았지만, 한국어 메시지를 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에 중국 입장을 설파하려는 압박성 발언으로 읽힙니다.

미국의 '90일 유예' 조치를 중국의 맞불 조치 성과로 포장해 중국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려는 의도로도 해석됩니다.

다이 대사는 '미국'이라는 이름표를 단 양이 '중국' 이름표를 단 양을 들이받고, 곧바로 고꾸라지는 내용의 영상도 함께 게시했습니다.

충격이 컸다는 듯 미국 양 머리 위에는 노란색 별 여러개가 빙글빙글 돕니다.

영상에는 '적이 나를 공격하지 않으면, 나도 공격하지 않지만, 나를 공격하면 반드시 반격한다'는 문구가 붙어있습니다.

주한 중국대사관 관계자는 다이 대사의 이번 글에 대해 "대사가 국제정세에 대한 견해를 개인 계정에 올린 것"이라면서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에 전하는 메시지"라고 설명했습니다.

다이 대사는 그제도 SNS에 "미국이 제멋대로 대중국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패권적 행위"라며 "중국은 이를 결코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

영상취재 : 한효준
영상편집 : 김지균


서주희 기자 juicy12@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주한 중국 대사가 한글로 쓴 SNS 글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00:05미국이 상호 관세를 유예한 건 중국의 반격과 저지 덕분이니 잊지 말라는 메시지를 올린 겁니다.
00:13일각에선 뭘 생색내고 싶은 거냐, 볼성 사나운 공치사 같은 반응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00:19보도에 서주희 기자입니다.
00:20다이빙 주한 중국 대사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90일 유예 결정은 중국의 역할 덕분이란 입장을 밝혔습니다.
00:30다이 대사는 어제 자신의 SNS에 중국어와 한국어로 각각 올린 글에서 중국의 단호한 반격과 저지가 없었다면 90일 유예 기간은 아예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잊지 말라, 이것은 단지 90일의 유예일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00:48한국을 거론하진 않았지만 한국어 메시지를 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의 중국 입장을 설파하려는 압박성 발언으로 읽힙니다.
00:58미국의 90일 유예 조치를 중국의 맞불 조치 성과로 포장해 중국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려는 의도로도 해석됩니다.
01:08다이 대사는 미국이란 이름표를 단 양이 중국 이름표를 단 양을 들이받고 곧바로 고꾸라지는 내용의 영상도 함께 게시했습니다.
01:18충격이 컸다는 듯 미국 양 머리 위엔 노란색 별 여러 개가 빙글빙글 돕니다.
01:23영상엔 적이 나를 공격하지 않으면 나도 공격하지 않지만 나를 공격하면 반드시 반격한다는 문구가 붙어 있습니다.
01:33주한 중국 대사관 관계자는 다이 대사의 이번 글에 대해 대사가 국제정세에 대한 견해를 개인 계정에 올린 것이라면서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에 전하는 메시지라고 설명했습니다.
01:46다이 대사는 그제도 SNS에 미국이 제멋대로 대중국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패권적 행위라며 중국은 이를 결코 수용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01:57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
02:00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
02:06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
02:12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
02:16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