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YTN을 향한 시청자 의견이라면 모두 귀 기울여 듣고, 답하는 시간입니다.

오늘 주목한 시청자 의견을 AI 앵커 Y-GO가 소개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만나보시죠.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25&key=20250413001559665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금까지 생생 지구촌이었습니다.
00:30자세한 내용 지금 바로 보시죠.
00:39얼마 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쓰러진 외국인 임신부를 받아줄 병원을 찾지 못해 결국 차 안에서 출산한 소식을 전한 앵커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00:49이틀 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서 베트남에서 귀하한 임신부 A씨가 쓰러졌다는 신고가 119에 접수됩니다.
00:58현장에 출동한 구급대 A씨가 복통을 호소하자 인근 병원을 수소문하는데요.
01:05인천과 서울, 경기 일대 병원 12곳에 문의했지만 모두 거절당했습니다.
01:11산모 수용은 불가하다, 또 산과 진료가 어렵다라는 게 대체적인 이유였는데요.
01:16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며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임을 전했는데요.
01:25인천공항에서 쓰러진 환자가 응급실 뺑뺑이 사태를 겪은 이를 보도했는데
01:30관련해 추가로 공항 의료 긴급 상황 시 대응 인프라 등의 문제점은 없는지 궁금증이 남았다는 시청자 의견이 있었습니다.
01:40시청자 톡톡아에서 보도 내용과 관련한 인천공항 의료 인프라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01:47인천국제공항은 하루 평균 항공기 천여 편이 운항하고
01:50여객 20만 명 이용하는 세계 3위 규모 허브 공항입니다.
01:55그러나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영종도에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하는 종합병원은 없어
02:01응급의료체계는 취약한 상태인데요.
02:04세계 주요 공항과 비교하면 인천국제공항의 의료 인프라는 현저히 부족하다는 걸 알 수 있는데요.
02:10일본 하네다 국제공항은 배후의 종합병원이 11개 있으며
02:14싱가포르 창의 국제공항 8개, 카타르 하마드 국제공항 7개,
02:19독일 미넨 국제공항 5개, 홍콩 국제공항 4개씩 배후의 종합병원이 있다고 합니다.
02:26또한 국내 다른 공항과 비교해도 인천국제공항 의료 인프라는 열악한데요.
02:32김포국제공항에는 13분 거리에, 제주국제공항에는 8분 거리에 응급의료기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02:38무항국제공항도 20분 거리에 응급의료기관이 있습니다.
02:42반면 인천국제공항은 가장 가까운 응급의료기관인
02:46이나대 병원이 40분 거리인 약 31km 거리에 있는데요.
02:51인천국제공항에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의료 대응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인 겁니다.
02:57응급의료기관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03:00응급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병원으로 종합병원급 이상만 지정될 수 있습니다.
03:06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에는 응급의료기관을 지정받을 종합병원이 없는데요.
03:11이거 인해 연간 1억 명이 이용하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응급의료 상황이 발생할 경우
03:17대처가 어려워 응급의료기관 역할을 할 종합병원 유치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고 합니다.
03:24다음으로 시청자 톡톡아의 두 번째 주제는 홍역 유행에 대한 시청자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03:30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이어서 확인해 보시죠.
03:33동남아 여행을 다녀온 여행객들이
03:49잇따라 홍역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03:51이에 대한 위험성을 알린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03:57지난해 49명이었던 국내 홍역 환자는 올해 들어 벌써 23명입니다.
04:02이 가운데 12명이 베트남을 방문했고
04:05나머지는 대부분 환자 접촉자였습니다.
04:09질병관리청은 해외 유입 환자가 계속 확인됨에 따라
04:12여행 계획이 있는데 홍역 예방접종 이력이 없거나
04:16확인되지 않는 경우 출국 전 접종을 권고했습니다.
04:20우리나라에서 나온 홍역 환자들은 대부분 베트남을 다녀온 사람들이며
04:24해외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들에게 예방접종을 권고한 사실을 알렸는데요.
04:29태국과 베트남을 다녀온 사람이 홍역 판정을 받았다는 소식을 전했는데
04:36관련해 홍역 유행 상황과 구체적인 예방접종 방법 등을 덧붙였다면
04:41예방접종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됐겠다는 시청자 의견이 있었습니다.
04:48시청자 톡톡아이에서 홍역 유행 상황과 예방접종 방법 등을 정리해봤습니다.
04:53홍역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세계적으로 많이 증가했습니다.
04:58코로나 백신을 맞느라 홍역 백신 접종을 덜 했기 때문인데요.
05:032019년 홍역 첫 번째 백신 접종률은 86%였는데
05:072021년에는 81%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05:11이는 2008년 이후 최저 수준인 건데요.
05:14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이로 인해 세계 홍역 환자는
05:172022년 17만 명, 2023년 32만 명, 지난해 33만 명으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05:26홍역은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 백신 접종이 매우 중요한데요.
05:31홍역 예방 백신은 2회 접종하면 평생 면역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05:35생후 12에서 15개월에 1회 접종하고
05:384에서 6세에 2회 접종을 마치면 약 97%의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는데요.
05:452회 접종했더라도 매우 드물게 홍역에 걸릴 수 있지만
05:48증상은 상대적으로 경미합니다.
05:525개월 이하 하기는 엄마에게서 받은 항체의 영향으로
05:55예방접종의 효과가 떨어짐으로 접종을 권장하지 않는데요.
05:59청소년과 성인 중에서 면역의 증거가 없는 사람은
06:02최소 1회 예방 백신을 접종하도록 권고된다고 합니다.
06:07면역의 증거란 1967년 이전 출생자, 홍역 확진을 받았던 사람,
06:13홍역 항체가 확인된 사람, 홍역 예방 백신 2회 접종자를 말하는데요.
06:18만일 자신이 예방 백신을 접종했는지 모르겠다면
06:22예방접종 도움이 누리집 사이트 접속 후 예방접종관리,
06:26접종내역 쪽에서 조회할 수 있으니
06:29직접 확인해보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06:32마지막으로 오늘 시청자 톡톡아의 세 번째 주제는
06:37땅 꺼짐 사고 대책에 대한 시청자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06:40이어지는 내용도 지금 바로 만나보시죠.
06:49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벼랑간 땅이 내려앉는
06:53땅 꺼짐 사고가 되풀이되자 불안감이 큽니다.
06:56최근 대형 땅 꺼짐 사고가 다시 한 번 발생하면서
06:59시민들의 우려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을 전한 보도가 있었습니다.
07:06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크고 작은 땅 꺼짐이 반복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07:10노후화된 수도관 문제가 꼽힙니다.
07:13서울시는 땅 꺼짐 사고가 반복되자 지난 1월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07:18하지만 불과 두 달 만에 대형 사고가 터지면서
07:20시민들은 행여 내가 피해자가 되지는 않을지 불안불안합니다.
07:24계속되는 땅 꺼짐 사고에
07:26서울시가 지난 1월 종합대책을 발표했지만
07:29두 달 만에 대형 사고가 터진 상황을 짚기도 했는데요.
07:35반복되는 땅 꺼짐 사고와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본 보도였는데
07:39보도 속에서 언급한 지난 1월 발표한
07:41서울시의 종합대책이 어떤 것인지 짚어주지 않아
07:44궁금했다는 시청자 의견이 있었습니다.
07:49자세한 내용을 보충하기 위해
07:50시청자 톡톡화에서 서울시의 땅 꺼짐 종합대책을 알아봅니다.
07:56서울시는 잦은 집안 치마 발생으로 시민 불안감이 커지면서
08:00올해 1월 1일 집안 치마 예방 종합 개선 대책을
08:04수립해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08:07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08:09서울시 대책은 집안 치마 예방에
08:11신기술을 적극 적용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요.
08:14지역별 집안 치마 가능성을 평가한 후
08:17시설물 우선 정비의 필요성을 등급화해 도면화한 자료인
08:21우선 정비 구역도를 올해 본격적으로 활용합니다.
08:25집안 변동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08:28집안 치마 관측망도 처음 시범 운영하는데요.
08:32집안 내 관측 센서를 설치해
08:33변동량을 실시간 측정하는 체계로
08:36잠재적 위험을 사전에 인지해
08:38선제 대처할 수 있다고 합니다.
08:40또한 시는 도로관리관의 지한전 관리를 전담하는
08:44도로혁신TF팀을 신설해
08:46관련 업무를 보강했는데요.
08:48나아가 2027년까지 도로기획관 산하의
08:51도로관리 혁신센터를 만들고
08:53인력도 충원할 계획입니다.
08:55아울러 최근 10년간 집안 치마 원인 중
08:58상하수관로 손상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점을 고려해
09:02노후 상하수관로를 집중적으로 정비한다고 밝혔는데요.
09:06시가 관리하는 181개 노선을 대상으로
09:09집안 치마 집중 발생 시기인 해빈길,
09:12우기의 예방 순찰을 확대하는 내용 등이
09:15담겼다고 합니다.
09:17YTN 방송의 부족 한 부분을 채우는
09:20시청자 톡톡아이 시간.
09:22다음 주도 다양한 시청자 의견과 함께
09:24돌아오겠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