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선 협상국에 한국·영국·호주·인도·일본"
미 재무 "최우선 목표 5개국 당국자들과 접촉"
"자동차 부품 생산 이전 시간 걸려"…면제 시사
자동차 관세 25% 적용…핵심 부품 관세도 곧 발표
미국 재무장관이 무역협상을 우선 추진할 국가로 한국 등 5개 나라를 꼽았습니다.
관세 정책의 유연성을 강조하기 시작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동차 부품의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권준기 특파원!
트럼프 행정부가 최우선 무역 협상 국가에 한국을 포함시켰다고요?
[기자]
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꼽은 최우선 협상국에는 한국과 영국, 호주, 인도, 일본이 들어갔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입니다.
신문은 베선트 장관이 자신의 최우선 목표에 이들 5개 나라가 포함됐고 각 국가 당국자들과 접촉해왔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미국 은행연합회 행사에서 자신이 무역 협상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결정한 직후에도 기자들에게 배경을 설명할 정도로 관세 정책과 관련해 전면에 나서고 있는 인물입니다.
우리나라 업계의 큰 관심사죠.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면제 가능성을 내비쳤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엘살바도르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일시적인 관세 면제를 검토하는 품목이 있는지 기자 질문을 받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는 부품 생산을 미국으로 옮겨오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예외 조치를 적용할 뜻을 밝혔습니다.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저는 자동차 회사들을 도울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는데, 그러려면 시간이 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자동차 회사라고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회사가 포함될지, 또 어떤 조치가 검토 중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엔진과 변속기 등 핵심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이전에 발효할 예정입니다.
아이폰에 대해서도 관세 예외 조치를 시사했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아이폰 관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유연... (중략)
YTN 권준기 (jkw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5060026052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미 재무 "최우선 목표 5개국 당국자들과 접촉"
"자동차 부품 생산 이전 시간 걸려"…면제 시사
자동차 관세 25% 적용…핵심 부품 관세도 곧 발표
미국 재무장관이 무역협상을 우선 추진할 국가로 한국 등 5개 나라를 꼽았습니다.
관세 정책의 유연성을 강조하기 시작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동차 부품의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권준기 특파원!
트럼프 행정부가 최우선 무역 협상 국가에 한국을 포함시켰다고요?
[기자]
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꼽은 최우선 협상국에는 한국과 영국, 호주, 인도, 일본이 들어갔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입니다.
신문은 베선트 장관이 자신의 최우선 목표에 이들 5개 나라가 포함됐고 각 국가 당국자들과 접촉해왔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미국 은행연합회 행사에서 자신이 무역 협상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결정한 직후에도 기자들에게 배경을 설명할 정도로 관세 정책과 관련해 전면에 나서고 있는 인물입니다.
우리나라 업계의 큰 관심사죠.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면제 가능성을 내비쳤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엘살바도르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일시적인 관세 면제를 검토하는 품목이 있는지 기자 질문을 받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는 부품 생산을 미국으로 옮겨오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예외 조치를 적용할 뜻을 밝혔습니다.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저는 자동차 회사들을 도울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는데, 그러려면 시간이 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자동차 회사라고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회사가 포함될지, 또 어떤 조치가 검토 중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엔진과 변속기 등 핵심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이전에 발효할 예정입니다.
아이폰에 대해서도 관세 예외 조치를 시사했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아이폰 관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유연... (중략)
YTN 권준기 (jkw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5060026052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미국 재무장관이 무역협상을 우선 추진할 국가로 한국을 포함한 5개 나라를 꼽았습니다.
00:06관세 정책의 유연성을 강조하기 시작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의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00:14워싱턴 연결해 보겠습니다.
00:16권중일 특파원, 우선 트럼프 행정부가 최우선 무역협상 국가에 우리나라를 포함시켰다고요?
00:22그렇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꼽은 최우선 협상국에는 한국과 영국, 호주, 인도, 일본이 들어갔습니다.
00:35월스트리트저널이 소식통을 인용해서 보도한 내용입니다.
00:37신문은 베선트 장관이 자신의 최우선 목표에 이들 5개 나라가 포함됐고 각 국가 당국자들과 접촉해왔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00:47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미국 은행연합회 행사에서 자신이 무역협상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00:55또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결정한 직후에도 기자들에게 배경을 설명할 정도로 관세 정책과 관련해 전면에 나서고 있는 인물입니다.
01:07우리나라에서 굉장히 큰 관심을 갖는 분야입니다.
01:11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상호관세, 이 부분도 면제 가능성을 내비셨다고요?
01:17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엘살바도르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일시적인 관세의 면제를 검토하는 품목이 있는지 기자 질문을 받았습니다.
01:28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는 부품 생산을 미국으로 옮겨오는데 시간이 걸린다며 예외 조치를 적용할 뜻을 밝혔습니다.
01:37들어보시죠.
01:37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자동차 회사라고 했는데
02:02구체적으로 어떤 회사가 포함될지, 또 어떤 조치가 검토 중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02:09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자동차의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02:14엔진과 변속기 등 핵심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이전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02:19트럼프 대통령은 아이폰 관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유연성을 강조했습니다.
02:35자신은 마음을 바꾸진 않지만 유연한 사람이라면서 애플과 관련해 어떤 조치가 나올 거라고 예고했습니다.
02:42특히 팀 쿡 CEO와 대화하고 있다며 관세 정책에서 애플을 배려할 뜻을 내비쳤습니다.
02:49이런 가운데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03:14무역 확장법 2, 3, 2조를 근거로 이들 품목이 미국 안보에 미칠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에 들어간 겁니다.
03:22이미 예고된 대로 한두 달 안에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수순으로 관측됩니다.
03:31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