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이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이번에도 직접 발언에 나선 윤 전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할 유일한 방법이었다면서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강조했습니다.

김태원 기자입니다.

[기자]
2차 공판 시작 직전,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구속 피고인 전용 통로를 통해 법정에 들어섭니다.

첫 공판 때처럼 짙은 남색 정장에 붉은 넥타이를 맸습니다.

굳게 입을 다물고서 맞은편 검사석을 바라보거나 변호인과 대화를 나누기도 합니다.

윤 전 대통령이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이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재판부는 국민적 관심과 알 권리 등을 고려했다면서 법정 촬영을 허가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지귀연 /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5부 부장판사 : 국민의 관심과 알 권리를 고려해서 이전 유사 사안·전례와 마찬가지로 공판개시 전에 한해서 법정촬영을 허가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첫 공판에서 90여 분에 걸쳐 진술하며 변론을 주도했던 윤 전 대통령은 2차 공판 증인신문 과정에선 주로 눈을 감은 채 진술을 듣거나 이따금 조는 듯한 모습까지 보였습니다.

그러나 재판 막바지에 증인신문 계획을 두고 법정 공방이 벌어지자 이번에도 직접 발언에 나섰습니다.

칼로 요리도 하고 환자 수술도 하지만 상해나 살인 같은 범죄도 저지를 수 있는 것처럼 계엄은 그 자체로 가치 중립적인 법적 수단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국가 비상사태라는 것을 선언할 방법이 계엄 선포 외에는 없었다면서, 장기 독재를 위한 쿠데타였는지 따져보려면 변호인 측 주장처럼 핵심 관계자들부터 불러 신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재판부는 다음 달 12일 3차 공판을 비롯해 오는 12월까지 매달 최소 서너 차례씩 공판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연내 1심 선고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YTN 김태원입니다.



촬영기자;최성훈

영상편집;윤용준

디자인;백승민





YTN 김태원 (woni04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421213537106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이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00:08이번에도 직접 발언에 나선 윤 전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할 유일한 방법이었다면서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강조했습니다.
00:18보도에 김태원 기자입니다.
00:232차 공판 시작 직전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구속 피고인 전용 통로를 통해 법정에 들어섭니다.
00:28첫 공판대처럼 짙은 남색 정장에 붉은 넥타이를 맺습니다.
00:34굳게 입을 다물고서 맞은편 검사석을 바라보거나 변호인과 대화를 나누기도 합니다.
00:40윤 전 대통령이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이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00:46재판부는 국민적 관심과 알 권리 등을 고려했다면서 법정 차량을 허가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00:58첫 공판에서 90여 분에 걸쳐 진술하며 변론을 주도했던 윤 전 대통령은 2차 공판 증인신문 과정에선 주로 눈을 감은 채 진술을 듣거나 이따금 조는 듯한 모습까지 보였습니다.
01:18그러나 재판 막바지에 증인신문 계획을 두고 법정 공방이 벌어지자 이번에도 직접 발언에 나섰습니다.
01:26칼로 요리도 하고 환자 수술도 하지만 상해나 살인 같은 범죄도 저지를 수 있는 것처럼
01:31계엄은 그 자체로 가치중립적인 법적 수단이라고 주장했습니다.
01:35또 국가 비상사태라는 것을 선언할 방법이 계엄 선포 외에는 없었다면서
01:41장기 독재를 위한 쿠데타였는지 따져보려면 변호인 측 주장처럼 핵심 관계자들부터 불러 신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01:51재판부는 다음 달 12일 3차 공판을 비롯해 오는 12월까지 매달 최소 서너 차례씩 공판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01:59연내 1심 선고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02:03YTN 김태원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