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에게 해임에 이어 금리를 인하를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뉴욕 증시는 급락했고, 경기 선행 지수도 하락해 경기 둔화가 현실화한 가운데 월가는 금융 시장이 흔들린다며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뉴욕 증시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부활절 연휴 이후 맞은 4월 넷째 주 첫 거래일을 급락세로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뉴욕 증권 거래소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와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지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 지수 모두 전장 대비 2% 넘게 급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압박하며 흔들기에 나선 여파로 풀이됩니다.

트럼프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을 통해 "금리를 선제적으로 인하하지 않으면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며 파월을 압박했습니다.

이어 파월이 금리 인하가 필요한 시기에는 매번 뒤늦게 대처하다 지난해 11월 대선을 앞두고는 바이든 대통령과 해리스 부통령을 돕기 위해 큰 폭의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케빈 헤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대통령과 참모들은 파월의 해임 문제를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현지시각 18일) : 물가는 내려가고 있습니다. 올라간다고 말하는 건 가짜뉴스입니다. 그대로인 건 금리뿐입니다. 연준 의장이 자기 일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면, 금리도 내려가고 있을 겁니다. 파월은 금리를 내려야 합니다.]


이에 월가에선 금융 시장과 달러화에 대한 신뢰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달러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무려 2.05포인트 낮은 97.92까지 급락하며 3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안전 자산으로 간주되는 금 가격은 사상 처음 트로이 온스(ozt)당 3,400달러를 돌파하고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투자 정보사 바이탈 놀리지는 트럼프의 금리 인하 요구가 연준 독립성을 위협하는 상황이 됐다며 "투자자들은 새로운 거시경제적 불안 요인에 직면해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경제 전문가의 평가를 들어보시죠.

[제프리... (중략)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22050245552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에게 해임에 이어 금리를 인하하라고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00:09이에 뉴욕증시는 급락했고 경기 선행지수도 하락하면서 경기 둔화가 현실화한 가운데 월간은 금융시장이 흔들린다며 우려하고 있습니다.
00:18이승윤 특파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00:21이승윤 특파원 뉴욕증시 상황 어떻습니까?
00:23뉴욕증시 3대 지수는 부활절 연휴 이후 맞은 4월 넷째 주 첫 거래일을 급락세로 마무리했습니다.
00:34뉴욕증권거래소에서 우량규 중심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 지수와 대형규 중심의 스탠다드 앰프워스 500 지수,
00:41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 모두 방금 전장 대비 2% 넘게 급락한 채 거래를 마무리했습니다.
00:49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압박하며 흔들기에 나선 여파로 풀이됩니다.
00:58트럼프는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금리를 선제적으로 인하하지 않으면 경제 성장이 둔화할 수 있다며 파월을 압박했습니다.
01:08이어 파월이 금리 인하가 필요한 시기엔 매번 뒤늦게 대처하다가 지난해 11월 대선을 앞두고는
01:14바이든 당시 대통령과 헤리스 부통령을 돕기 위해 큰 폭의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01:22케빈의 씻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대통령과 참모들은 파월의 해입 문제를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01:31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직접 들어보시죠.
01:33월가에서는 금융시장과 달러화에 대한 신뢰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고요.
02:00네 그렇습니다. 달러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무려 2.05포인트 낮은 97.9위까지 급락하며 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02:12반면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는 금 가격은 사상 처음 트로이온스당 3,400달러를 돌파하고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02:20투자 정보사 바이탈 날리지는 트럼프의 금리 인하 요구가 연준 독립성을 위협하는 상황이 됐다며 투자자들은 새로운 거시경제적 불안 요인에 직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02:32경제 전문가의 평가를 들어보시죠.
02:33투자은행인 에버코어는 실제로 연준 의장을 해임하려 한다면 채권금리 상승, 달러가치 하락, 주식 투매 등
02:38강한 시장 반응을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03:06또 사람들이 연준의 독립성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하면 이는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는 기준을 오히려 강화하는 셈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03:17좀 쉽게 설명하면 트럼프의 압박 속에 금리가 인하됐을 때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훼손됐다는 인식을 키울 수 있습니다.
03:25이렇게 되면 연준이 오히려 금리 인하에 소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03:31FHN 파이낸셜은 파워를 향한 트럼프의 위협은 미국 자산에 대한 외국인들 투자자들의 신뢰에 도움이 되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03:41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침해될 경우에 결국 고물가 저성장으로 규결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03:52트럼프는 파월에 대한 날선 반응으로 계속 압박을 이어가고 있지만 파월은 내년 5월인 임기 만료 이전에 자진 사임할 뜻이 없음을 분명하게 밝혔습니다.
04:03지금까지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