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중국이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무단으로 대형 철골 구조물을 설치한 사실에 국내 누리꾼들의 분노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특히 21일 일부 언론에서 중국이 서해에 '어업 양식시설'이라고 주장하며 설치한 구조물이 사실상 인공섬이라고 보도하면서 비판 여론에 더욱 불이 붙었습니다.

소셜미디어(SNS)에는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인공섬을 통해 영향력을 넓힌 것처럼 서해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해양 영토 확장을 꾀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쏟아졌습니다.

누리꾼들은 이번 사안을 단순한 어업 시설 설치가 아니라 '영토 확장의 전초전'이라고 인식했습니다.

네이버뉴스 댓글창엔 "사실상 인공섬을 만들고 군사적 목적을 띤 것 아니냐", "중국에 대해 꿀 먹은 벙어리인 정치권도 문제", "이렇게 서서히 중국에 먹히는 거 아닌가" 등의 분노 어린 목소리가 쏟아졌습니다.

다음뉴스 댓글창에서도 "야금야금 먹으면서 자기들 속국 만들려는 짓을 대한민국 전반에 걸쳐 하는 듯", "이해득실 따지지 말고 강력 대응해라. 남중국해에서 교훈을 얻지 못했나" 등의 댓글이 달렸습니다.

유튜브 등의 분위기는 한층 더 격앙됐습니다.

유튜브의 한 이용자는 "나라가 침략당한 거나 마찬가지"라고 했고, 또 다른 이용자는 "저곳에 군사기지 지으려는 것 같다. 중국과의 전쟁이 가까워지는 것 같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엑스(X·옛 트위터)에서는 '서해공정'이라는 표현도 등장하며 중국의 해양 확장 전략을 정면 비판하는 목소리도 이어졌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경각심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한 디시인사이드 이용자는 "독도는 뺏길까 말까지만 서해는 지금 뺏기고 있는 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0일 국회 청원 시스템인 국민동의청원에는 '중국의 불법 해양 구조물 설치 대응을 위한 '서해 해양주권 보호법' 제정에 관한 청원'이 올라와 현재까지 7천798명이 동의한 상태입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서해 한중 PMZ에 중국이 설치한 구조물과 관련해 "비례 대응과 관련된 것은 해양 영토를 지킨다는 입장에서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면서 "정부에서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중국 정부는 해당 구조물과 관련해 한중 간 협정을 위반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해...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422095747225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중국이 서해 한중 잠정 조치 수역의 무단으로 배영 철골 구조물을 설치한 사실에 국내 누리꾼들의 분노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00:09특히 21일 일부 언론에서 중국이 서해의 어업 양식 시설이라고 주장하며 설치한 구조물이 사실상 인공섬이라고 보도하면서 비판 여론에 더욱 불이 붙었습니다.
00:19소셜미디어에는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인공섬을 통해 영향력을 넓힌 것처럼 서해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해양 영토 확장을 꾀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쏟아졌습니다.
00:32누리꾼들은 이번 산을 단순한 어업시설 설치가 아니라 영토 확장의 전초전이라고 인식했습니다.
00:37네이버 뉴스 댓글창엔 사실상 인공섬을 만들고 군사적 목적을 띈 것 아니냐, 중국에 대해 꿀먹은 벙어리인 정치권도 문제, 이렇게 서서히 중국에 먹히는 거 아닌가 등의 분노 어린 목소리가 쏟아졌습니다.
00:52다음 뉴스 댓글창에서도 야금야금 먹으면서 자기들 속국 만들려는 짓을 대한민국 전반에 걸쳐하는 듯,
00:58이에 득실 따지지 말고 강력 대응해라, 남중국해에서 교훈을 얻지 못했나 등의 댓글이 달렸습니다.
01:04유튜브 등의 분위기는 한층 더 격앙됐습니다.
01:08유튜브의 한 이용자는 나라가 침략당한 거나 마찬가지라고 했고,
01:12또 다른 이용자는 저곳에 군사기지 지으려는 것 같다, 중국과의 전쟁이 가까워지는 것 같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01:20S에서는 서해공정이라는 표현도 등장하며, 중국의 해양 확장 전략을 정면 비판하는 목소리도 이어졌습니다.
01:27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경각심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01:31한 기신사이드 이용자는 독도는 뺏길까 말까지만 서해는 지금 뺏기고 있는 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01:39이런 가운데 지난 10일 국회 청원 시스템인 국민동 이청원에는 중국의 불법 해양구조물 설치대응을 위한 서해 해양조건보호법 제정에 관한 청원이 올라와,
01:48현재까지 7,798명이 동의한 상태입니다.
01:51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서해 한중 PMZ에 중국이 설치한 구조물과 관련해 비례대응과 관련된 것은 해양 영토를 지킨다는 입장에서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면서 정부에서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02:06한편 중국 정부는 해당 구조물과 관련해 한중 간 협정을 위반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02:13권작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예 브리핑에서 중국은 해양 업무 관련 협력 채널을 통해 한국 측의 구조물 관련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며 한국이 객관적이고 이성적으로 대응하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