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미 2+2 통상협의'를 위해 방미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본격적인 관세 협상을 앞두고 최 부총리는 한미동맹을 더 튼튼하게 하고,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연결하겠습니다. 홍상희 특파원

이번 한미 2+2 통상 협의로 본격적인 관세 협상의 막이 오르게 됐는데요. 최 부총리도 방미 일정을 시작했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품목관세와, 유예기간을 둔 상호관세 파장을 줄이기 위한 본격적인 협상이 이곳 시간으로 24일 오전 워싱턴DC 재무부에서 열립니다.

오늘 오전 워싱턴DC에 도착한 최 부총리는 밝은 표정이었지만 가급적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는데요.

들어보시겠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한미동맹을 더욱 튼튼하게 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러 왔습니다. 논의결과는 목요일에 말씀드리겠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우리 정부 인사로는 최고위급 방문이기도 한데요.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한 25% 품목 관세부과에 이어 25%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90일 동안의 유예기간을 둔 상태이기 때문에 본격적인 협상을 앞두고 매우 조심스러운 모습이었습니다.

안덕근 산업장관도 이곳시간으로 내일 도착해 최 부총리와 함께 2+2 통상 협의에 나서게 됩니다.

대표단에는 외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교통부 등 모두 8개 관계부처 실무진도 동행해 비관세 장벽 이슈에 대응할 계획입니다.


이번 협의는 미국 측의 제안으로 성사됐는데 구체적인 의제도 결정됐습니까?

[기자]
최상목 부총리는 이번 주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 IMF 세계은행 춘계회의 참석이 계획돼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측이 재무와 통상 수장이 참여하는 2+2 통상 협의를 요청해 최상목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장관이 함께 협의에 나서게 된 건데요.

통상협의는 현지시간으로 24일 오전 8시에 시작되고,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합니다.

2+2 협의는 1시간 정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안덕근 장관은 이후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와 별도 협의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번 통상협의의 구체적인 의제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 (중략)

YTN 홍상희 (sa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23042450958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미 2플러스2 통상협의를 위해 방미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00:07본격적인 관세 협상을 앞두고 최 부총리는 한미동맹을 더 튼튼하게 하고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고 밝혔는데요.
00:15워싱턴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00:17홍상희 특파원, 이번 한미 2플러스2 통상협의로 본격적인 관세 협상에 막이 오르게 됐는데요.
00:24최 부총리도 방미 일정을 시작했죠.
00:26네 그렇습니다.
00:30이미 시작된 품목 관세와 유예기간을 둔 상호 관세 파장을 줄이기 위한 본격적인 한미 협상이 이곳 시간으로 24일 오전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열립니다.
00:40오늘 오전 워싱턴 DC에 도착한 최 부총리는 밝은 표정이었지만 가급적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는데요.
00:46들어보시겠습니다.
00:51한미동맹을 더욱 튼튼하게 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러 왔습니다.
00:55논의 결과는 목요일 날 말씀드리겠습니다.
01:01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우리 정부 인사로는 최고위급 방문이기도 한데요.
01:06철광과 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한 25%의 품목 관세 부과에 이어서 25%의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
01:1390일 동안의 유예기간을 둔 상태이기 때문에 본격적인 협상을 앞두고 매우 조심스러운 모습이었습니다.
01:20안덕근 산업장관도 이곳 시간으로 내일 도착해서 최 부총리와 함께 2플러스2 통상협의에 나서게 됩니다.
01:28대표단에는 외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수산식품부 등 모두 8개 관계부처 실무진도 동행해서 비관세 장벽 이슈에 대응할 계획입니다.
01:38이번 협의는 미국 측의 제안으로 성사됐는데 구체적인 의제도 결정됐습니까?
01:48구체적인 의제는 아직 설정되지 않았습니다.
01:51최상무 부총리는 사실 이번 주 워싱턴 디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인 IMF와 세계은행 충계회의 참석이 계획돼 있었습니다.
02:03이런 상황에서 미국 측이 재무와 통상수장이 모두 참여하는 2플러스2 통상협의를 요청해 왔고 최상무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장관이 함께 협의에 나서게 된 겁니다.
02:15통상협의는 현지시간으로 24일 오전 8시에 시작이 되고요.
02:19미국 측에서는 스코페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가 참석합니다.
02:252플러스2 협의는 1시간 정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안덕근 장관은 그 이후에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와 별도 협의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02:36이번 통상협의의 구체적인 의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02:40우리나라가 지난해 기준 566억 달러에 이르는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하는 무역수지 불균형 문제뿐 아니라
02:4730개월 미만 소고기 수입 제한 또 고정밀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 제한 등 비관세 장벽 문제를 미국 측이 제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02:58또 트럼프 대통령이 원스톱 쇼핑 협상을 언급하면서 미국이 방위비 분담금 조정 이슈를
03:04이번 협상 테이블에서 공식적으로 제안할지도 우리로서는 부담인데요.
03:09정부는 통상과 안보는 분리해서 대응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03:14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잠시 전 브리핑에서 전 세계에서 구체적인 협상 제안이 들어오고 있다면서
03:20빠른 협상 타결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03:24들어보시겠습니다.
03:44우리 정부의 목표는 관세 면제나 유예 연장, 감경을 받아낸다는 걸 텐데 전략은 무엇입니까?
03:56중국과 관세 협상을 좀처럼 시작하지 못하면서 동맹과의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는 미국과 달리
04:02우리 정부는 이번 통상 협의를 신중하게 접근한다는 입장입니다.
04:07탐색 전에 더 무게를 두고 이번 만남을 협상이 아닌 통상 협의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인데요.
04:14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언급했던 조선업 협력이나 알래스카 액화 천연가스 개발 사업 참여 등
04:20미국의 관심 사항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04:25최상목 부총리도 오늘 워싱턴 DC에 도착해서
04:28한미 간 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논의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는데요.
04:32들어보시겠습니다.
04:35일단은 미국 측 관심사항을 제가 경청하고
04:42또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04:48그러면 우리가 서로 도움되는 논의가 되는 어떤 이해폭을 넓힐 수 있으니까
04:54그렇게 노력을 하려고 합니다.
04:56다만 변수는 트럼프 대통령입니다.
05:03지난 16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을 위해 배합관을 찾았던
05:07아차가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과 만나겠다며
05:11회담에 직접 참석을 해서 무역적자 해소와 방위비 부담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05:16이번 협의가 재무부 청사에서 열리는 만큼
05:19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등장하지는 않더라도
05:22최근 비관세 부정행위 리스트를 직접 언급하기도 하면서
05:25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의제가 어디로 튈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05:32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