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미국발 관세 폭탄 속 4월 수출입 실적 공개
지난달 대미 수출 106억 달러…전년 대비 6.8%↓
미 양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 부진 탓
대미 무역 흑자 45억 달러…전년 대비 9억 달러↓


미국의 관세 폭탄에도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증가세를 이어가며 선방했습니다.

하지만 대미 수출은 7% 가까이 급감했고 자동차 수출도 부진을 면치 못했는데요.

경제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최아영 기자!

먼저 대미 수출부터 짚어보죠.

관세 폭탄 여파가 본격화하는 모양이군요?

[기자]
네. 미국발 관세 충격이 수출 수치에도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은 중국과 함께 우리나라 양대 수출 시장인데요.

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06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6.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미국 수출 양대 품목인 자동차와 일반기계 수출이 감소한 영향입니다.

이에 따라 대미 흑자 규모도 1년 전보다 9억 달러 감소한 45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는 전기차 수요 부진 속에 관세 여파까지 미치면서 3.8% 감소한 65억 달러에 그쳤습니다.


이런 관세 영향 속에서도 지난달 전체 수출은 그래도 선방했네요?

[기자]
네. 다행히 증가세가 꺾이진 않았습니다.

지난달 우리나라 전체 수출은 582억 달러로 1년 전보다 3.7% 늘었는데요.

대미 수출은 부진했지만 중국과 아세안, 유럽 수출이 증가세를 이끌었습니다.

수출 품목으로 보면 '효자' 반도체가 이름값을 했는데요.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보다 17.2% 증가한 117억 달러로 4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여기에 지난해보다 5% 넘게 증가한 철강 수출 실적도 눈에 띄는데요.

미국의 관세 25% 부과에도 불구하고 수출 물량이 늘면서 넉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습니다.

지난달 전체 수입은 533억 달러로 2.7% 줄었고요.

이로써 무역수지는 4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우리나라 수출은 올해 1월 한 차례 꺾인 뒤 반등해 석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최아영입니다.




YTN 최아영 (cay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501115345308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미국의 관세 폭탄에도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증가세를 이어가며 선방했습니다.
00:05하지만 대미 수출은 7% 가까이 급감했고, 자동차 수출도 부진을 면치 못했는데요.
00:11경제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00:14최하영 기자, 먼저 대미 수출부터 짚어보죠. 관세 폭탄 여파가 이제 본격화하는 모양새죠?
00:21네, 미국발 관세 충격이 수출 수치에도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00:26미국은 중국과 함께 우리나라 양대 수출 시장인데요.
00:28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06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6.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00:36미국 수출 양대 품목인 자동차와 일반 기계 수출이 감소한 영향입니다.
00:41이에 따라 대미 흑자 규모도 1년 전보다 9억 달러 감소한 45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00:48특히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는 전기차 수요 부진 속에 관세 여파까지 미치면서 3.8% 감소한 65억 달러에 그쳤습니다.
00:58네, 이런 관세 영향 속에서도 지난달 전체 수출은 그래도 선방을 한 것 같아요.
01:05네, 다행히 증가세가 꺾이지는 않았습니다.
01:09지난달 우리나라 전체 수출은 582억 달러로 1년 전보다 3.7% 늘었는데요.
01:15대미 수출은 부진했지만 중국과 아세안, 유럽 수출이 증가세를 이끌었습니다.
01:21수출 품목으로 보면 효자 반도체가 이름값을 했는데요.
01:25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보다 17.2% 증가한 117억 달러로 4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01:33여기에 지난해보다 5% 넘게 증가한 철강 수출 실적도 눈에 띄는데요.
01:38미국의 관세 25% 부과에도 불구하고 수출 물량이 늘면서 넉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습니다.
01:46지난달 전체 수입은 533억 달러로 2.7% 줄었고요.
01:51이로써 무역 수지는 4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01:55우리나라 수출은 올해 1월 한 차례 꺾인 뒤 반등해 석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02:00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최하영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