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장애인 편의를 돕는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무장한 안경이 시각장애인 길 안내의 새 지평을 열었습니다.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웨어러블 비전 AI 시스템'을 착용한 시각장애인이 미로를 통과해 의자를 찾아갑니다.
넓은 회의실에서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 것도 쉽게 해냅니다.
이 시스템은 안경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실시간을 촬영합니다.
초소형 AI 컴퓨터가 영상을 분석해 다른 사람과 문, 벽, 가구 등을 인식하고, 0.25초마다 이어폰을 통해 경로를 안내합니다.
손목과 손가락에 착용해 추가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 피부'도 개발했습니다.
여기에도 자체 카메라 시스템이 장착돼, 장애물이 접근하면 진동으로 알려줍니다.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테스트에서 지팡이를 사용할 때보다 이동 거리와 길 찾기 시간이 평균 25%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크리스 루이스 독립 통신·접근성 분석가 : 물론 안내견이나 지팡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궁극적으로 안경에 장착된 카메라가 양쪽 귀와 촉각 피드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엄청난 진전입니다.]
이 기술은 청각과 촉각 피드백을 결합해 시각장애인에게 주변 상황을 계속 인식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독창적입니다.
연구진은 이 장치를 더 가볍고 작게 만들기 위해 디자인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레이레이 구 상하이교통대 교수(시스템 개발자) : 아주 작은 카메라를 콘택트렌즈에 장착하고 눈에 넣으면 아무도 시각 장애인이라는 사실을 모르게 되길 바랍니다.]
구글 글라스를 이용해 파킨슨병 환자들의 소통을 돕고, 웹캠 AI로 청각 장애 아동의 수어 학습을 돕는 플랫폼도 개발됐습니다.
AI 발전과 함께 의료용 웨어러블 기술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507013201732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인공지능으로 무장한 안경이 시각장애인 길 안내의 새 지평을 열었습니다.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웨어러블 비전 AI 시스템'을 착용한 시각장애인이 미로를 통과해 의자를 찾아갑니다.
넓은 회의실에서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 것도 쉽게 해냅니다.
이 시스템은 안경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실시간을 촬영합니다.
초소형 AI 컴퓨터가 영상을 분석해 다른 사람과 문, 벽, 가구 등을 인식하고, 0.25초마다 이어폰을 통해 경로를 안내합니다.
손목과 손가락에 착용해 추가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 피부'도 개발했습니다.
여기에도 자체 카메라 시스템이 장착돼, 장애물이 접근하면 진동으로 알려줍니다.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테스트에서 지팡이를 사용할 때보다 이동 거리와 길 찾기 시간이 평균 25%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크리스 루이스 독립 통신·접근성 분석가 : 물론 안내견이나 지팡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궁극적으로 안경에 장착된 카메라가 양쪽 귀와 촉각 피드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엄청난 진전입니다.]
이 기술은 청각과 촉각 피드백을 결합해 시각장애인에게 주변 상황을 계속 인식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독창적입니다.
연구진은 이 장치를 더 가볍고 작게 만들기 위해 디자인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레이레이 구 상하이교통대 교수(시스템 개발자) : 아주 작은 카메라를 콘택트렌즈에 장착하고 눈에 넣으면 아무도 시각 장애인이라는 사실을 모르게 되길 바랍니다.]
구글 글라스를 이용해 파킨슨병 환자들의 소통을 돕고, 웹캠 AI로 청각 장애 아동의 수어 학습을 돕는 플랫폼도 개발됐습니다.
AI 발전과 함께 의료용 웨어러블 기술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507013201732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시청각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이 발전함에 따라 장애인 편의를 돕는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00:08인공지능으로 무장한 안경이 시각장애인 길 안내에 새 지평을 열었습니다.
00:13권영희 기자입니다.
00:17웨어러블 비전 AI 시스템을 착용한 시각장애인이 미로를 통과해 의자를 찾아갑니다.
00:25넓은 회의실에서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 것도 쉽게 해냅니다.
00:28이 시스템은 안경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실시간 촬영합니다.
00:36초소형 AI 컴퓨터가 영상을 분석해 다른 사람과 문, 벽, 가구 등을 인식하고 0.25초마다 이어폰을 통해 경로를 안내합니다.
00:46손목과 손가락에 착용해 수가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피부도 개발했습니다.
00:52여기에도 자체 카메라 시스템이 장착돼 장애물이 접근하면 진동으로 알려줍니다.
01:00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테스트에서 지팡이를 사용할 때보다 이동거리와 길찾기 시간이 평균 25%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01:09이 기술은 청각과 촉각 피드백을 결합해 시각장애인에게 주변 상황을 계속 인식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독창적입니다.
01:35연구진은 이 장치를 더 가볍고 작게 만들기 위해 디자인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01:41구글 글라스를 이용해 파킨슨병 환자들의 소통을 돕고 웹캠 AI로 청각장애 아동의 수어 학습을 돕는 플랫폼도 개발됐습니다.
02:05AI 발전과 함께 의료용 웨어러블 기술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02:11YTN 권영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