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1시쯤 부산 사하구 을숙도. 낙동강이 머금었던 토사가 쌓여 만들어진 섬에 대형 백로 조형물이 눈에 띄었다. 머리부터 꼬리까지 길이 15.6m, 높이 9.3m에 달하는 조형물에는 날개 아랫부분을 좌우로 관통하는 공간이 뚫려 사람이 새의 몸통 안쪽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 새의 몸은 여러 명이 걸터앉거나 딛고 올라설 수 있을 만큼 견고했다.
이 새의 정체는 전국에서 끌어모은 폐플라스틱 27t을 재활용해 제작한 쇠백로 파빌리온(전시 목적 임시 건물)이다. ‘Re: 새- 새- 정글(Re:New- Bird- Jungle)’이라는 타이틀이 붙었다. 1만5000개의 재생 플라스틱 프레임과 판재를 가로세로 55㎝의 정육면체 유닛으로 조립하고, 유닛을 하나하나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제작했다.
대형 쇠백로 파빌리온 제작을 기획한 부산현대미술관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배달음식 이용이 일반화됐고, 플라스틱 용기 사용량이 급증하며 ‘플라스틱 팬데믹’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로 인한 환경 파괴 문제를 환기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탐구하자는 의미를 담아 이번 작품을 기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환경부 집계를 보면 국내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양은 2019년 131만t에서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251만t으로 급증했다.
조류도감은 쇠백로가 “사다새목 왜가리과에 속한 백로의 일종으로, 매년 4~10...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4367?cloc=dailymotion
이 새의 정체는 전국에서 끌어모은 폐플라스틱 27t을 재활용해 제작한 쇠백로 파빌리온(전시 목적 임시 건물)이다. ‘Re: 새- 새- 정글(Re:New- Bird- Jungle)’이라는 타이틀이 붙었다. 1만5000개의 재생 플라스틱 프레임과 판재를 가로세로 55㎝의 정육면체 유닛으로 조립하고, 유닛을 하나하나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제작했다.
대형 쇠백로 파빌리온 제작을 기획한 부산현대미술관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배달음식 이용이 일반화됐고, 플라스틱 용기 사용량이 급증하며 ‘플라스틱 팬데믹’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로 인한 환경 파괴 문제를 환기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탐구하자는 의미를 담아 이번 작품을 기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환경부 집계를 보면 국내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양은 2019년 131만t에서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251만t으로 급증했다.
조류도감은 쇠백로가 “사다새목 왜가리과에 속한 백로의 일종으로, 매년 4~10...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4367?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