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개월 전
 
국립중앙박물관(이하 박물관)에서 고구려의 존재가 이렇게 강렬했던 적이 있을까. 지난달 24일 상설전시관 로비인 ‘역사의 길’에 발광다이오드(LED) 미디어타워, 일명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이하 광개토왕비)가 공개되면서 연 400만명(지난해 기준)이 찾는 박물관의 첫 인상이 바뀌고 있다. 고대 삼국 가운데 영토 대부분이 한국(남한) 바깥에 있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졌던 고구려(기원전 37년~서기 668년) 유물에 대한 관심도 커지는 분위기다.  
 
중국 지안(集安)성의 실제 광개토왕비(6.39m)를 재현한 높이 7.5m(받침대 포함 8m)의 미디어타워는 영상물 스크린을 겸한다. 4면을 둘러가며 고구려 건국신화와 광개토대왕의 업적 등이 적힌 총 1775자의 비문을 보여준다. 중요 단락은 부분 확대해 국문과 영문으로 소개한다. 타워를 에워싼 벽에도 비석 원문을 실제 크기로 프린트한 족자(총 4개)를 걸고 하단엔 국문·영문 해설을 곁들였다.  
 
이 디지털 복제본은 중국 현지의 실제 비석보다 원문이 훨씬 또렷하다. 고구려 멸망 후 잊혔던 광개토왕비는 1880년대 이르러서야 이끼 가득한 모습으로 재발견됐다. 당시 독특한 서체를 높이 산 금석문학자들이 이끼 등을 제거하고 무리하게 탁본하는 과정에서 비 표면이 심하게 훼손됐다.
 
반면 미디어타워와 족자는 원석탁본인 청명본을 바탕으로 하되 빠진 글자도 여러 판본을 대조해 채워 넣었다. 청명본은 1889년 리윈충(李雲從)이...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28603?cloc=dailymotion

Category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