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개월 전
[한반도 브리핑] '통일' '민족' 살리기…美 관심은 '155mm 포탄'


[앵커]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안보 이슈를 정리해 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한반도 브리핑'입니다.

국제, 외교·안보 분야 담당하는 이치동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오늘은 스튜디오 사정상 바로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 내용부터 살펴볼까요.

[기자]

이번에도 선명한 대일, 대북 메시지를 냈는데요.

핵심은 일본과는 함께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겠다, 북한 관련해서는 '자유로운 통일 한반도'를 지향하겠다는겁니다.

특히, 이번 연설에서 통일을 여덟 차례나 언급했습니다.

최근 김정은 정권이 통일이라는 개념을 헌법에서도 지우겠다고 선언한 데 대한 대응 차원으로풀이됩니다.

윤 정부 들어 국방 백서에서 북한 전체가 아닌 북한군과 정권을 주적으로 명시한 바 있죠.

이런 기조 속에서 주민들에게는 따뜻한 도움의 손길을 거두지 않겠다고강조했습니다.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이라고 있는데요.

1994년에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시했습니다.

남북을 하나의 민족 공동체로 발전시켜서 한민족 1국가 실현을 목표로합니다.

윤 대통령이 8월 광복절 경축사에서 자유 민주주의를 더 강조한 업데이트 버전을 제시할 예정인 것으로알려졌습니다.

[앵커]

대외 관계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의 포탄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고 하는데요.

미국과 유럽이 한국을 쳐다보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기자]

우크라이나 전쟁이 '포탄 전쟁'으로 불립니다.

그만큼 수요가 폭증해서, 서방 세계 내 공급망이 무너지는 형국인데요.

그중에서도 155mm 포탄 사용 빈도와 중요도가 높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미국과 유럽에서 곡사포와 탱크처럼 자체주행하는 자주포는 155mm 포탄을 쓰는 게 표준처럼 돼서 의존도가 높습니다.

(펜으로 설명) 이걸 포탄이라고 치면, 뒤쪽 평평한 원형 부분 직경이 155mm, 15.5 센티미터인 겁니다.

사거리는 보통 수십 킬로미터로 정확도와 파괴력 밸런스, 안정성이 좋아서 유용하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가성비가 좋은 거죠.

이 포탄 가격이 개당 1~2천 달러 하던 게, 8천 달러 이상으로 폭등했다는 보도도 있습니다.

작년 3월에 유럽연합 국방 장관들이 1년 동안, 그러니까 이번 달 말까지, 우크라이나에 포탄 100만 발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절반 정도만 전달될 것으로보입니다.

포탄 수요가 갑자기 늘어서 수급이 안 되는 건데요.

코로나 초기 마스크 대란을 기억하실 겁니다.

이처럼 평소에 포탄을 마냥 쌓아놓을 수도 없고, 전쟁이라는 게 언제 터질지, 끝날지 몰라서 수급 조절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상황이 이러니,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에서는 부족한 포탄을 한국에서 조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있습니다.

유리 킴 미국 국무부 부차관보도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방어용 물자를 더 지원해주면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동맹국들의 전반적인 화력 지원 차원에서 지금 당장 가장 필요한 건 155mm 포탄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하지만, 포탄과 같은 살상 무기 직접 지원은 하지 않겠다는 우리 정부의 공식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 않습니까?

[기자]

무엇보다 러시아와 관계를 고려해서 그런 원칙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쟁이 끝나면 러시아와 관계를 어떻게든 회복해야 하니까요.

현재까지 우크라이나에 지뢰 제거 장비, 트럭, 방탄복 같은 거만 직접 제공했는데요.

작년에, 미국에 155mm 포탄 50만 발을 대여 형식으로 건넸는데, 미국이 자국 포탄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고 부족한 재고를 한국 거로 채웠는지, 한국에서 받을 걸 바로 보냈는지는 확인이 안 됩니다.

어쨌든, 정무적 판단을 하는 백악관은 이 문제의 민감성, 또 한국 정부의 입장을 이해하고 있어서 대외적으로는 말을 아꼈습니다.

들어보시죠.

"(155mm 포탄 지원 문제는) 한국이 스스로 군사적 결정과 양자 관계에 관해 얘기해야겠지요. 우리는 한국의 우크라이나 지원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한국의 군사적 결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앵커]

다음 주에 한미 연합훈련이 시작되는데요.

북한뿐 아니라 러시아도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고 있습니다.

[기자]

연례 '자유의 방패' 훈련이 내일모레죠.

3월 4일부터 14일까지 한반도 안팎에서 진행됩니다.

이번엔 특히 야외 기동훈련 비중을 대폭 늘렸다고 합니다.

올해 첫 주요 한미연합훈련으로 9·19 남북 군사합의가 사실상 폐기된 이후 처음 열리는 겁니다.

북한이 이런 연합훈련을 침략 리허설로 규정하고, 이를 빌미로 도발한 사례가 많습니다.

최근 러시아도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는데요.

쇼이구 국방 장관이 미군이 역내 연합 훈련 규모를 확대하는 등 태평양 지역 활동을 늘리고 있다면서, 러시아도 동부 국경지대, 그러니까 서태평양 쪽에서 전투력을 증강하겠다고 으름장을 놨습니다.

[앵커]

아무래도, 핀란드에 이어 스웨덴까지 나토에 가입하면서, 미국의 동북아 내 군사 활동을 더 견제하는 거 같습니다.

[기자]

그렇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와, 미국이 주도하는 집단방어체제인 나토 간 갈등이 깊어졌습니다.

한국은 나토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작년엔 러시아와 1,300킬로미터 국경을 맞댄 핀란드가 나토에 들어갔는데요.

이번엔 발트해 건너편에 위치한 스웨덴까지 서른두 번째 나토 회원국이 돼서 러시아의 심기가 아주 불편합니다.

그저께 푸틴 대통령이 국정연설에서 이 문제를 여러 번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나토가 우크라이나에 파병하면, 핵전쟁까지 불사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막고, 영토를 확보해서, 나토의 동진을 저지하려고 이번 전쟁을 일으켰는데요.

이게 오히려 오랫동안 중립국을 표방하던 핀란드와 스웨덴을 나토 편으로 만들어서 나토 확장을 초래한 겁니다.

[앵커]

축구 이야기 좀 해볼까요.

북한이 자랑하는 여자 축구팀이 프랑...

Category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