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6일 반도체특별법(이하 반도체법)의 단계적 처리 방침을 확정해 발표했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여야 이견이 없는 국가적 지원 부분을 먼저 처리하고, 여야뿐 아니라 노사 간 이견이 있는 노동 시간 적용 제외 문제는 별도로 논의를 지속해서 합의되는 대로 처리하자”고 말했다.
반도체 산업 연구·개발(R&D) 분야 고액 연봉자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 예외를 적용하는 특례 조항만 따로 떼어내 입법을 미루기로 결정한 것이다. 진 의장은 이 조항이 “기업이 마음대로 노동자들을 노동시킬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하는 얘기와 전혀 다를 바가 없다”고 했다. 최근 정부가 낸 특별연장 근로 절충안에 대해서도 “노동자의 건강권을 침해할 소지가 크기 때문에 노동계는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진 의장은 그러면서 “특별법이 아니더라도 현행 근로기준법상 보완 제도로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국회 환노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의 입장을 자세히 소개했다.
이는 이재명 대표가 지난달 2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과감하게 전향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며 여당과의 합의 처리 가능성을 내비쳤던 것과 크게 달라진 결정이다. 국민의힘은 특례 조항을 포함한 반도체법의 일괄 처리를 주장한다. 이 대표는 지난 3일 당내 정책 토론회를 열어 노동 조건 악화를 우려하는 참석자들에게 “구더기 생길까 봐 장을 담그지 말자는 것과 똑같은 얘기”라며 “그건 다른 방법으로 막으면 된다”고 말했다.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조기 대선 국면에서 성장론을 들고 나온 이 대표와 민주당이 반도체법을 계기로 노선 전환을 가시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198?cloc=dailymotion
반도체 산업 연구·개발(R&D) 분야 고액 연봉자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 예외를 적용하는 특례 조항만 따로 떼어내 입법을 미루기로 결정한 것이다. 진 의장은 이 조항이 “기업이 마음대로 노동자들을 노동시킬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하는 얘기와 전혀 다를 바가 없다”고 했다. 최근 정부가 낸 특별연장 근로 절충안에 대해서도 “노동자의 건강권을 침해할 소지가 크기 때문에 노동계는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진 의장은 그러면서 “특별법이 아니더라도 현행 근로기준법상 보완 제도로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국회 환노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의 입장을 자세히 소개했다.
이는 이재명 대표가 지난달 2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과감하게 전향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며 여당과의 합의 처리 가능성을 내비쳤던 것과 크게 달라진 결정이다. 국민의힘은 특례 조항을 포함한 반도체법의 일괄 처리를 주장한다. 이 대표는 지난 3일 당내 정책 토론회를 열어 노동 조건 악화를 우려하는 참석자들에게 “구더기 생길까 봐 장을 담그지 말자는 것과 똑같은 얘기”라며 “그건 다른 방법으로 막으면 된다”고 말했다.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조기 대선 국면에서 성장론을 들고 나온 이 대표와 민주당이 반도체법을 계기로 노선 전환을 가시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198?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