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4일 중앙위원회의를 열고 21대 대선 경선 룰을 ‘국민참여경선(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으로 확정하면서 군소 주자들은 격하게 반발했다. 김두관 전 의원은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경선 룰”이라는 평가가 반발의 배경이다.
18~20대 대선 경선에서 사용했던 ‘국민경선(당원과 일반 국민 선거인단 모두 1인 1표)’ 방식과 달리 이번 경선에선 권리당원이 아니면 경선 투표권을 얻을 수 없도록 했는데, 권리당원들 사이에선 이재명 전 대표의 지지세가 지배적이다.
김 전 의원은 이날 경선 룰 확정 직후 페이스북에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면목이 없다”며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김 전 의원은 “당 선관위는 후보 측과 어떤 설명이나 논의도 없이 ‘오픈프라이머리(100% 국민선거인단 경선제) 불가’를 발표했다”며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 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선 룰 변경의 명분이 된 특정 세력의 조직적 역선택 우려에 대해선 “신천지가 두렵고 전광훈이 무서운데 무슨 선거를 치르겠습니까”라며 “그런 역선택이 민주당 경선에서 언제 있었느냐”고 반문했다. 이같은 반발을 김 전 의원 측이 “불출마가 아닌 민주당 경선 거부”라고 설명하면서, 정치권에는 “김 전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유감을 표했으나, 당 경선에는 참여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역선택 우려와 당원 중심 정당의 중요성 등 국민참여경선을 지지하는 주요 논리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당원 동지분들이 결정한 일이기 때문에 모든 걸 뒤로 하고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71?cloc=dailymotion
18~20대 대선 경선에서 사용했던 ‘국민경선(당원과 일반 국민 선거인단 모두 1인 1표)’ 방식과 달리 이번 경선에선 권리당원이 아니면 경선 투표권을 얻을 수 없도록 했는데, 권리당원들 사이에선 이재명 전 대표의 지지세가 지배적이다.
김 전 의원은 이날 경선 룰 확정 직후 페이스북에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면목이 없다”며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김 전 의원은 “당 선관위는 후보 측과 어떤 설명이나 논의도 없이 ‘오픈프라이머리(100% 국민선거인단 경선제) 불가’를 발표했다”며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 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선 룰 변경의 명분이 된 특정 세력의 조직적 역선택 우려에 대해선 “신천지가 두렵고 전광훈이 무서운데 무슨 선거를 치르겠습니까”라며 “그런 역선택이 민주당 경선에서 언제 있었느냐”고 반문했다. 이같은 반발을 김 전 의원 측이 “불출마가 아닌 민주당 경선 거부”라고 설명하면서, 정치권에는 “김 전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유감을 표했으나, 당 경선에는 참여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역선택 우려와 당원 중심 정당의 중요성 등 국민참여경선을 지지하는 주요 논리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당원 동지분들이 결정한 일이기 때문에 모든 걸 뒤로 하고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71?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