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생활용품 매장과 편의점에 이어, 이젠 대형마트에서도 초저가 화장품에 뛰어 들었습니다.
싸지만 품질 좋은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우현기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대형마트 한편에 화장품 판매대가 눈에 띕니다.
스킨, 로션 기초제품부터 세럼 등 기능성 제품까지 가격은 5천 원이 채 되지 않습니다.
나흘 전 판매를 시작했는데, 일부 제품은 이미 품절입니다.
[A 씨 / 대형마트 고객]
"요즘 불경기에 가성비 좋은 게 최고잖아요. 좋으면 계속 구매할 의향이 있어요."
최근 '불황형 소비 트랜드'로 소비자들이 싸고 좋은 품질을 찾고 있습니다.
생활용품업체가 최근 1년 간 큰 매출을 올리면서 대형마트도 가성비 화장품 시장에 뛰어든 겁니다.
단순히 저렴한 것에 그치지 않고 화장품 제조사와 협업으로 기능 경쟁도 치열합니다.
제품들을 비교해봤습니다.
대형마트와 생활용품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수분 크림 제품입니다.
같은 화장품 제조업체에서 만들었고요.
5천원으로 같은 가격에 용량도 동일합니다.
겹치는 성분도 있지만, 한 제품은 보습을, 다른 제품은 주름 개선 효과에 집중했습니다.
업체들은 포장을 단순화하고, AI를 통한 모델로 마케팅 비용을 낮췄습니다.
[이은희 /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
"용량도 작게 만들고 용기에 들어가는 비용도 줄이고 비싼 성분은 빼고 그러다보니 저가에 공급할 수 있는 거죠."
각 업체들은 화장품 안전 검사 통과 등을 강조하는 가운데, 식약처는 관련 법을 위반할 경우 행정처분 등 조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
영상취재 : 강인재
영상편집 : 석동은
우현기 기자 whk@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생활용품 매장과 편의점에 이어 이제는 대형마트에서도 초저가 화장품에 뛰어들었습니다.
00:065천원짜리 화장품 전쟁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00:10우현기 기자입니다.
00:13서울의 한 대형마트 한편에 화장품 판매대가 눈에 띕니다.
00:18스킨, 로션 기초 제품부터 세럼 등 기능성 제품까지 가격은 5천원이 채 되지 않습니다.
00:25나흘 전 판매를 시작했는데 일부 제품은 이미 품절입니다.
00:28최근 불황형 소비 트렌드로 소비자들이 싸고 좋은 품질을 찾고 있습니다.
00:42생활용품 업체가 최근 1년간 큰 매출을 올리면서 대형마트도 가성비 화장품 시장에 뛰어든 겁니다.
00:49단순히 저렴한 것에 그치지 않고 화장품 제조사와 협업으로 기능 경쟁도 치열합니다.
00:55제품들을 비교해봤습니다.
00:57대형마트와 일반 생활용품 매장에서 판매 중인 수분크림 제품입니다.
01:03화장품 제조업체는 동일하고요.
01:05가격도 5천원으로 같고 용량도 동일합니다.
01:10겹치는 성분도 있지만 한 제품은 보습을, 다른 제품은 주름 개선 효과를 강조했습니다.
01:16업체들은 포장을 단순화하고 AI를 통한 모델로 마케팅 비용을 낮췄습니다.
01:22용량도 작게 만들고, 용기에 들어가는 비용도 줄이고,
01:27비싼 성분 같은 건 빼고, 그러다 보니까 저가격에 공급할 수가 있는 거죠.
01:32각 업체들은 화장품 안전검사 통과 등을 강조하는 가운데,
01:36식약처는 관련법을 위반할 경우 행정처분 등 조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01:41채널A 뉴스 우형기입니다.
01:43영상편집 및 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