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프란치스코 교황은 재위 기간 내내 방중 의지를 밝히며 단교 중인 중국과의 관계개선을 시도했습니다.

그동안 유럽의 유일한 수교국을 잃을까 긴장했던 타이완은 총통이 직접 교황 장례 미사에 참석하는 것도 검토했지만 결국 불발됐습니다.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기자]
2013년 3월, 하루 차이로 선출된 프란치스코 교황과 중국 시진핑 주석.

친서를 주고받으며 대화의 물꼬를 텄고, 이듬해 교황의 방한 때 중국은 하늘길을 열어줬습니다.

교황으로서 첫 방중 의지를 밝히기 시작한 것도 당시 중국 영공을 지날 때부터였습니다.

[프란치스코 / 교황 (지난 2014년) : 우리는 중국 국민을 존중하고, 바티칸은 단지 중국이 교회 활동의 자유를 보장하길 요청할 뿐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끝내 중국 땅을 밟진 못했지만, 2018년 주교 임명 협정 체결 등 성과도 남겼습니다.

1951년 교황청이 타이완을 국가로 인정하면서 단교했던 중국과 관계 회복에 공을 들였습니다.

앞서 베네딕토 16세 선종 때 1주일 걸렸던 중국의 공식 애도가 이번엔 하루 만에 나온 배경입니다.

[궈자쿤 / 중국 외교부 대변인 : 교황 선종에 애도를 표시합니다. 중국은 바티칸과 함께 양측 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

반면 프란치스코 교황 재위 12년 내내 유럽의 유일한 수교국을 잃을까 긴장했던 타이완.

선종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총통부에 조기를 달고 라이칭더 총통의 장례 미사 참석을 타진했습니다.

[우즈중 / 타이완 외교부 차장 : (총통이 갈 수 있도록 교섭 중입니까?) 그렇습니다. 당연히 총통께서 갈 수 있도록 총력 교섭을 하는 게 외교부의 가장 중요한 목표죠.]

그러나 결국 프란치스코 교황과 친분이 있던 천젠런 전 부총통이 대신 가기로 했습니다.

앞서 프란치스코 교황 취임식과 요한바오로 2세의 장례 때 당시 현직 총통들이 참석했던 관례에 비춰보면 격이 현저히 낮아졌단 평가입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23205213605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프란치스코 교황은 재위기간 내내 방중 의지를 밝히며 단교 중인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습니다.
00:07그동안 유럽의 유일한 수교국을 잃을까 긴장했던 타이완은 총통이 직접 교황 장례 미사에 참석하는 것도 검토했지만 결국 불발됐습니다.
00:16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00:202013년 3월 하루 차이로 선출된 프란치스코 교황과 중국 시진핑 주석.
00:27친서를 주고받으며 대화의 물꼬를 텄고 이듬해 교황의 방한 때 중국은 하늘길을 열어줬습니다.
00:37교황으로서 첫 방중 의지를 밝히기 시작한 것도 당시 중국 연공을 지날 때부터였습니다.
00:43프란치스코 교황은 끝내 중국 땅을 밟진 못했지만 2018년 주교 임명협정 체결 등 성과도 남겼습니다.
01:021951년 교황청이 타이완을 국가로 인정하면서 단교했던 중국과 관계 회복에 공을 들였습니다.
01:12앞서 베네딕토 16세 선종 때 일주일 걸렸던 중국의 공식 애도가 이번엔 하루 만에 나온 배경입니다.
01:20반면 프란치스코 교황 제위 12년 내내 유럽의 유일한 수교국을 잃을까 걱정했던 타이완.
01:38선종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총통부에 조기를 달고 라이칭터 총통의 장례 미사 참석을 타진했습니다.
01:56그러나 결국 프란치스코 교황과 친분이 있던 전젠런 전 부총통이 대신 가기로 했습니다.
02:03앞서 프란치스코 교황 취임식과 요한 바오로 2세의 장례식 때 당시 현직 총통들이 참석했던 관례에 비춰보면 격이 현저히 낮아졌다는 평가입니다.
02:16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