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나왔습니다.
Q. 홍 기자, 오늘 한덕수 전 총리 출마 선언 했어요. 개헌과 거국내각이 눈에 띄더군요.
개헌과 거국내각이 나온 배경이 있습니다.
오늘 출마 선언문을 요약하면 "나는 싸우지 않겠다", "싸우는 않는 정치구조 만들겠다" 입니다.
Q. 누구와 싸우지 않겠다는 거에요?
협치가 없으면 미래가 없다고 했습니다.
55년 공직생활 해보니 현재 권력구조 문제가 심각하다는 겁니다.
윤석열 정부 때도 대통령은 거부권, 국회는 탄핵을 남발하는 핑퐁싸움이 이어졌죠.
현 헌법체계로는 권력기관이 충돌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액션 플랜으로 '개헌'과 '거국내각'을 제시한 거죠.
Q. 개헌은 어떻게 하겠다는 거에요?
대통령이 주도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시기에 대한 로드맵만 제시했고,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으로 개헌 지원 기구를 만들겠다고 했는데요.
지원이란 말이 눈길을 끌죠.
Q. 왜 대통령이 주도하지 않겠다는 거에요?
그동안 개헌이 안 된 이유가 권력자가 자기 욕심 부르느라 못 했다고 보기 때문인데요.
어차피 개헌안은 의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만 국민 투표에 부칠 수 있습니다.
자신은 욕심을 버리고 국회와 함께 할테니 이번에 제대로 해보자는 거죠.
대신 이 방향은 제시했습니다.
대통령 권한을 분산하고 책임 총리제로 가야 한다, 그리고 싸우지 않도록 협치 구조로 가야 한다고요.
Q. 거국내각은요? 거국내각이라는 게 사실 여야 모든 인사들을 장관으로 둔다는 거잖아요.
거국내각 구상도 결국은 정치 갈등 최소화를 위한 도구로 볼 수 있습니다.
어차피 국무총리만 하더라도 민주당 동의 없이는 임명할 수 없으니까요.
이건 빅텐트의 밑자락이기도 합니다.
오늘 거국통합내각 구성의 대상자로 본인의 대선 경쟁자를 언급했습니다.
캠프 측에서는 국민의힘 후보 뿐 아니라 이낙연 이준석 안철수 유승민 등 이름까지 거론하는데요.
이들과 빅텐트를 치면서 이들 혹은 이들이 추천하는 인사를 내각으로 쓰겠다는 걸 카드로 쓸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선, 기자들이 먼저 묻지도 않았는데 "야당 대표와 2주에 한 번씩 만나겠다, 노조나 시민단체 인사들과도 수시로 만나겠다"고 약속했거든요.
이런 구상들이 좌우로 갈라진 극심한 진영구도를 내가 타파하겠다는 구상인거죠.
Q. 그걸 왜 본인이 한다고 하나요?
아마 이 답이 아닐까 싶은데요.
야권에서 자신을 향해 노욕이라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잖아요.
본인의 출마 명분과도 이어집니다. 본인은 정치를 안 했잖아요.
그간 수많은 정치인이 개헌을 약속해왔지만 결국 자신의 권력 때문에 못했던 거 아니냐는 게 기본적인 인식입니다.
그리고 노무현 정부, 윤석열 정부 총리를 지내며 진보 보수 다 지내봤잖아요.
오늘 많이 쓴 표현이 디딤돌인데요.
나는 욕심이 없고 이념도 없다. 나를 디딤돌로 해 미래로 가자고 한 겁니다.
Q. 모든 정파를 아우르는 대통령이 되겠다는 건데, 지금부터 아주 바쁘겠어요?
네 그렇습니다.
캠프 측은 한 전 총리가 누구와 만나는지를 지켜봐달라고 하더라고요.
당장 내일 정대철 헌정회장을 만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개헌을 가장 강하게 주장했었죠.
거국내각의 한 축이 될 수 있는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고문은 한 전 총리의 출마 선언문에 긍정적인 반응 내놨고요.
이준석 후보도 만나겠다고 하죠.
당분간 보수진영으로 대표되는 국민의힘과 범 야권 사이 줄타기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홍지은 기자 rediu@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네, 안 기자, 정치봉준 기자 나왔습니다.
00:05오늘 한덕수 전 총리 출마 선언을 했는데
00:07개헌과 거국내각이 눈에 띄더군요.
00:11네, 개헌과 거국내각이 나온 배경이 있었습니다.
00:14오늘 출마 선언문을 요약하면요.
00:17나는 싸우지 않겠다.
00:19싸우지 않는 정치 구조를 만들겠다. 이겁니다.
00:22누구와 싸우지 않겠다는 거예요?
00:24네, 협치가 없으면요. 미래가 없다고 했습니다.
00:2755년 공직 생활을 해보니
00:29현재의 권력구조 문제가 심각하다는 겁니다.
00:32윤석열 정부 때도 대통령은 거부권,
00:35국회는 탄핵을 남발하는 핑퐁 싸움이 이어졌죠.
00:38현 헌법체계로는 권력기관이 충돌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00:43그렇기 때문에 그 액션 플랜으로
00:45개헌과 거국내각을 제시한 거죠.
00:48개헌을 어떻게 하겠다는 거예요?
00:49네, 일단은 대통령이 주도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00:53시기에 대한 로드맨만 제시했고요.
00:55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으로 개헌 지원 기구를 만들겠다고 했는데요.
01:01여기서 지원이라는 말이 눈길을 끌죠.
01:04왜 대통령이 주도하지 않겠다는 겁니까?
01:06그동안 개헌이 안 된 이유가 권력자가 자기 욕심을 부리느라 못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01:12어차피 개헌안은 의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만 국민 투표에 붙일 수 있습니다.
01:19자신은 욕심을 버리고 국회와 함께할 테니 이번에는 제대로 해보자는 거죠.
01:25대신에 이 방향은 제시했습니다.
01:28대통령 권한은 분산하고 책임 총리제로 가야 한다.
01:32그리고 싸우지 않도록 협치 구조로 가야 한다고요.
01:34또 거국 내각이라고 했는데 그거는 여야 가릴 것 없이 임무를 다 장관으로 같이 쓴다는 거잖아요.
01:42네 거국 내각 구상도 결국에는 정치 갈등을 최소화하는 도구로 볼 수 있습니다.
01:48어차피 국무총리만 하더라도 민주당 동의 없이는 임명할 수 없으니까요.
01:52이거는 사실 빅텐트의 밑자락이기도 합니다.
01:55오늘 거국 통합 내각의 구성의 대상자로 본인의 대선 경쟁자를 언급했습니다.
02:02한덕수 캠프 측에서는 국민의힘 후보뿐 아니라 이낙연, 이준석, 안철수, 유승민 등 이름까지 거론하고 있는데요.
02:11이들과 빅텐트를 치면서 이들 혹은 이들이 추천하는 인사를 내각으로 쓰겠다는 걸 하나의 카드로 쓸 걸로 보입니다.
02:19오늘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는요.
02:21기자들이 먼저 묻지도 않았는데 야당 대표와 이주해 한 번씩 만나겠다.
02:26노조나 시민단체 인사들과도 수시로 만나겠다고 했거든요.
02:30이런 구상들이 좌우로 갈라진 극심한 진영 구도를 내가 타파하겠다는 구상인 거죠.
02:37이걸 한번 물어보고 싶어요.
02:39그런데 왜 본인이 할 수 있다고 보는 얘기를 했습니까?
02:41아마 이 답이 아닐까 싶은데요.
02:44야권에서는 자신을 향해 노욕이라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잖아요.
02:48본인의 출마 명분과도 이어집니다.
02:52본인은 그동안 정치를 한 번도 안 했었죠.
02:55그간 수많은 정치인이 개헌을 약속해왔지만 결국 자신의 권력 때문에 못했던 거 아니냐는 게 기본적인 인식입니다.
03:03그리고 노무현 정부, 윤석열 정부 총리를 지내며 진보, 보수 다 지내봤잖아요.
03:09그래서 오늘 많이 쓴 표현이 바로 디딤돌인데요.
03:13나는 욕심이 없고 이념도 없다.
03:16나를 디딤돌로 해서 미래로 나아가자고 한 겁니다.
03:20모든 정파를 아우른다.
03:22말은 좋은데 그러면 실천을 해야겠죠?
03:25오늘부터 바빠지는 겁니까?
03:26네, 그렇습니다.
03:27캠프 측에서는 한 전 총리가 누구와 만나는지를 지켜봐달라고 하더라고요.
03:32당장 내일은 정대철 헌정 회장을 만나는 걸로 확인됐습니다.
03:36개헌을 가장 강하게 주장했던 분이죠.
03:40대국 내각의 한 축이 될 수 있는 이낙연 세미래 민주당 고문은 한정 총리 출마 선언문에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고요.
03:48이준석 후보도 만나겠다고 합니다.
03:50당분간 보수 진영으로 대표되는 국민의힘과 범야권 사이의 줄타기도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03:57네, 잘 들었습니다.
03:58안인 기자,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04:06네,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