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개월 전


[앵커]
여성 근로자 300명, 전체 근로자 500명 이상 기업은 직장 어린이집을 설치해야 합니다.

그런데 기껏 지어놓고도 정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는 곳들이 있습니다. 

회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출근 시간대 차로 40분 넘게 걸리기 때문인데요.

경제카메라, 송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정원이 37명인 서울 송파구의 한 직장 어린이집.

12명만 다니는데 비 오는 날 아침이라 등원하는 어린이는 5~6명에 불과합니다.

중구에 위치한 본사에서 17km 떨어져 있어 출근 시간대 차로 40분 넘게 걸리기 때문입니다.

[일반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
"이용을 안 하겠죠. 출퇴근길에 있으면 모르겠는데 돌아가야 한다고 하면."

이렇다 보니 인근에 거주하는 계열사 직원만 이용합니다.

[해당 기업 노조 관계자]
"그것(어린이집 위치)도 계속 얘기는 하고 있지만. 중구 쪽이 또 땅값이 비싸기 때문에."

서울의 또다른 기업도 직장 어린이집이 출퇴근 시간 회사에서 차로 30분 이상 걸리다보니 49명 정원에 9명만 찼습니다.

[직장 어린이집 이용 직원]
"(회사까지 얼마나 걸리세요) 30분? (좀 빠듯하시겠네요?) 네, 지금 그래서 급하게."

직장 어린이집 위치에 대한 기준이 없다 보니 생긴 문제입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
"그건(위치 기준) 없어요. 사업주 부담이기 때문에. 제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입니다."

현재 여성 근로자 300명, 전체 근로자 500명 이상 기업은 직장 어린이집을 설치해야 합니다.

기껏 지어놓고도 위치가 멀어 이용률이 저조한가 하면, 수년째 벌금을 내며 버티는 기업도 지난해 기준 27곳입니다.

직장 어린이집을 설치하지 않아 명단이 공개된 기업입니다.

지난해까지 7년 동안 설치하지 않아 지불한 강제 이행금만 8억 원이 넘습니다.

한 번에 최대 1억 5천만 원의 강제금이 부과되지만, 이곳을 포함해 4곳은 7년 이상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50인 정원의 보육시설 연간 운영비는 평균 4억 원.

지난해 한 패션업체 임원이 '어린이집 운영비보다 벌금이 싸다'고 발언한 이유입니다.

전문가들은 직장 어린이집을 회사 10분 내 거리에 짓거나 근로자가 원하는 곳에 위탁하는 방식을 제안합니다.

[김동훈 /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근로자 자녀가 다니는 어린이집과 개별적으로 계약을 맺어서 위탁보육 형태로 설치 의무를 이행하는 것이…."

보다 실효성 있는 직장 어린이집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경제카메라 송정현입니다.

연출 : 박희웅 김태희
구성 : 강전호


송정현 기자 ssong@ichannela.com

Category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