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부과 대상에 한국도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새 관세는 다음 달 12일부터 시행되는데 국내 철강 산업에도 타격이 예상됩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
윤현숙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포문을 연 글로벌 관세 전쟁의 영향이 한국에도 미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의 25%의 관세를 일률적으로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포고문에는 집권 1기 때인 지난 2018년 예외를 적용했던 한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도 다음 달 12일부터 일률적으로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한국 외에 일본과 영국,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유럽연합(EU) 회원국에도 같은 조치가 적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내용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기본적으로 모든 알루미늄과 모든 철강에 예외 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합니다. 이제 미국에서 많은 기업이 문을 열게 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8년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했으며, 이번에 예외와 면제를 없애면서 알루미늄 관세를 25%로 인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과거 한국이 별도 협상을 통해 보장받은 철강 263만 톤의 무관세 쿼터도 다음 달 12일부터 사라집니다.
또, 가공을 거치지 않은 철강재와 1차 알루미늄에 초점을 맞췄던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완제품도 관세 적용 대상에 포함돼 관세 적용 제품의 범위가 더 넓어졌습니다.
이번 조치로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에 이어 4번째로 대미 철강 수출액이 많은 한국도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가뜩이나 중국발 저가 철강제품의 과잉 공급과 수요 부진으로 침체의 늪에 빠진 국내 철강은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이중고를 겪을 전망입니다.
문제는 이제 시작이라는 점인데요.
한국의 주요 대미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에도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 부과도 예고한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중략)
YTN 윤현숙 (yunhs@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211174121676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새 관세는 다음 달 12일부터 시행되는데 국내 철강 산업에도 타격이 예상됩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
윤현숙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포문을 연 글로벌 관세 전쟁의 영향이 한국에도 미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의 25%의 관세를 일률적으로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포고문에는 집권 1기 때인 지난 2018년 예외를 적용했던 한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도 다음 달 12일부터 일률적으로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한국 외에 일본과 영국,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유럽연합(EU) 회원국에도 같은 조치가 적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내용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기본적으로 모든 알루미늄과 모든 철강에 예외 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합니다. 이제 미국에서 많은 기업이 문을 열게 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8년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했으며, 이번에 예외와 면제를 없애면서 알루미늄 관세를 25%로 인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과거 한국이 별도 협상을 통해 보장받은 철강 263만 톤의 무관세 쿼터도 다음 달 12일부터 사라집니다.
또, 가공을 거치지 않은 철강재와 1차 알루미늄에 초점을 맞췄던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완제품도 관세 적용 대상에 포함돼 관세 적용 제품의 범위가 더 넓어졌습니다.
이번 조치로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에 이어 4번째로 대미 철강 수출액이 많은 한국도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가뜩이나 중국발 저가 철강제품의 과잉 공급과 수요 부진으로 침체의 늪에 빠진 국내 철강은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이중고를 겪을 전망입니다.
문제는 이제 시작이라는 점인데요.
한국의 주요 대미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에도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 부과도 예고한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중략)
YTN 윤현숙 (yunhs@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211174121676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