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이탈리아 로마 시내 성모 대성전에 안치된 프란치스코 교황의 무덤이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돼 첫날부터 수만 명이 다녀갔습니다.

교황의 장례 절차가 마무리됨에 따라 바티칸은 오늘(28일)부터 후임 선출을 위한 선거 국면으로 들어갑니다.

런던 조수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 다음 날에도 추모 열기가 여전히 식지 않고 있습니다.

로마 시내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 안치된 교황의 무덤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교황의 유언 그대로 별다른 장식 없이 흰 장미 한 송이만 놓였고 '프란치스쿠스'라는 라틴어 교황명 만이 새겨져 있습니다.

공개 첫날에만 3만 명이 넘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마리아 / 폴란드 순례자 : 무덤이 소박했던 교황의 생전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장례 절차가 마무리되면서 바티칸은 후임 교황 선출을 위한 추기경단 비밀회의, 콘클라베 채비에 들어갔습니다.

추기경단은 지난 22일 첫 일반 회의를 시작으로 콘클라베 일정과 주목할 인물 등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하루 두 번씩 열리는 추기경단 일반회의에서 본격적인 콘클라베를 앞두고 탐색전을 벌이게 됩니다.

[토마스 / 독일 신자 : 전 세계에 혼란스러운 일이 많은 만큼 차기 교황은 화합을 이루기 위한 계획이 있는 분이 선출되면 좋겠습니다.]

콘클라베는 다음 달 4일 애도 기간이 끝난 뒤 6일에서 11일 사이 소집될 전망입니다.

과거 콘클라베에선 평균 사흘 만에 결론이 났지만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역대 가장 진보적이었던 프란치스코 교황의 정신을 계승할지가 관심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포용적인 교리 해석과 개혁 정책으로 찬사와 함께 보수파 성직자의 비판도 받아온 만큼, 이에 대한 평가가 핵심 변수로 꼽힙니다.

런던에서 YTN 조수현입니다.



촬영: 유현우

영상편집: 임종문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28031657102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탈리아 로마 시내 성모대성전에 안치된 프란치스코 교황의 무덤이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돼 첫날부터 수만 명이 다녀갔습니다.
00:09교황의 장례 절차가 마무리됨에 따라 바티카는 오늘부터 후임 선출을 위한 선거 국면으로 들어갑니다.
00:16런던 조수연 특파원입니다.
00:21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 다음 날에도 추모 열기가 여전히 식지 않고 있습니다.
00:26로마 시내 산타마리아 마졸의 대성전에 안치된 교황의 무덤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00:33교황의 유언 그대로 별다른 장식 없이 흰 장미 한 송이만 놓였고 프란치스코스라는 라틴어 교황명만이 새겨져 있습니다.
00:43공개 첫날에만 3만 명이 넘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00:46장례 절차가 마무리되면서 바티카는 후임 교황 선출을 위한 추기경단 비밀회의 콩클라베 체비에 들어갔습니다.
01:03추기경단은 지난 22일 첫 일반회의를 시작으로 콩클라베 일정과 주목할 인물 등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01:10하루 두 번씩 열리는 추기경단 일반회의에서 본격적인 콩클라베를 앞두고 탐색전을 벌이게 됩니다.
01:33콩클라베는 다음 달 4일 애도 기간이 끝난 뒤 6일에서 11일 사이 소집될 전망입니다.
01:39과거 콩클라베에선 평균 사흘 만에 결론이 났지만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01:48무엇보다 역대 가장 진보적이었던 프란치스코 교황의 정신을 계승할지가 관심입니다.
01:54프란치스코 교황은 포용적인 교리해석과 개혁 정책으로 찬사와 함께 보수파 성직자의 비판도 받아온 만큼 이에 대한 평가가 핵심 변수로 꼽힙니다.
02:05런던에서 YTN 조수연입니다.

추천